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자수

추천0 조회수 30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자수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0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자수는 헝겊 가죽 등의 표면에 실‚끈‚리본 등을 바늘 또는 바늘 모양의 도구로 꽂아서 수놓은 그림이나 도안의 총칭. 단순히 수(繡)라고도 한다. <일반적형태 및 특징> 자수는 문양을 바탕천에 그려서 아름다운 색실로 곱게 수를 놓는 것이므로 무늬의 종류에 따라 그에 적합한 기법을 사용한다. 그래서 자수품은 더욱 아름답고 변화 있게 표현되어 단조로움에서 벗어나게 된다. 자수기법 중에는 넓은 면적을 메우는 평수기법과 보다 세밀하게 처리하고 색을 조화 있게 꾸밀 때에 사용된 자련수기법이 큰 줄기를 이루고 있다. 이 밖에 선은 이음수로 석류알 ? 꽃술 등은 매듭수로 표현했으며‚ 잎은 가름수나 평수기법으로 하였다. 한번의 기법으로 원하는 표현이 되지 않으면 그 위에 또 반복해서 기법을 사용하기도 하였다. 따라서 자수에 사용된 기법은 외형으로 보아 아주 복잡한 기법을 구사하는 것 같아도 세밀히 관찰해 보면 평수‚ 자련수‚ 이음수‚ 징검수‚ 매듭수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자수 작품이 단순하게 보이면서도 다양하게 느껴지는 것은 색과 기법의 변화를 적절하게 구사하는 미적 감각에 의한 표현 기술에서 비롯된다. <자수의 유형> 자수는 여성들의 생활을 나타내고 있다. 외부세계에 대한 출입이 자유롭지 않은 여성들은 규방에서 부덕을 닦는 교양으로써 자기의 내면세계와 품격을 자수를 통하여 다듬었고 안락한 가정생활과 현세 복락을 자수를 통해서 나타내어 왔다. (1) 불교자수 전통자수 중에서 비교적 유품이 풍부한 편이다. 현재 전하고 있는 불교자수의 종류로는 수불(繡佛)‚ 가사(袈裟)‚ 파라니주머니‚ 불경표지‚ 번기(幡旗)‚ 수식(垂飾)‚ 부처방석 등이 있다 불교자수는 통일신라시대에 수불이 제작되었고‚ 고려시대에는 불교가 더욱 왕성하여 불교자수도 성행하였을 것이다. 이러한 불교자수는 부처님에 대한 공양으로 만들어진 것이 대부분으로 신앙심을 불러일으키기에 족했을 것이며‚ 현재 전하고 있는 불교자수는 대부분 조선 후기에 제작된 것이다. (2) 병풍자수 원래 바람을 막고 시선을 가리는 가리개 구실을 하던 병풍이 그림이나 글씨를 감상하는 자식적인 용도로 사용되면서 자수도 발달하였다. 이 병풍 자수는 서화병풍과 내용이 거의 비슷하나 그 표현이 자수 독자적인 방향으로 나타나고 있다. 조선후기에 제작된 것이 많으며‚ 당시 서민층의 취향에 따라 그들의 생활감정을 소박하게 표현한 것이 많다. 또한 그 종류가 다양한데‚ 꽃과 새를 소재로 한 것이 많고‚ 수복염원이나 부귀다남을 희구하는 것도 있다. 또한 후기에 오면서 구도가 복잡해지고 원색을 많이 구사하는 한편 실의 굵기도 굵어져서 투박한 서민적 취향이 강하게 나타난다. (3) 복식자수 입고 다니는 복식에 수놓는 것으로 복식자수에 대한 기록은 고대문헌에 많이 나타난다. 그러나 그 복식자수에 대한 색상‚ 기법 등의 세부적인 것은 거의 없다. 복식자수에 대한 최초의 기록은 부여시대에 나타나며‚ 삼국시대 관인의 복식에 대한 기록에서 자수가 성행하였음을 알 수 있다. 조선시대에 들어오면 복식제도에서 사회적 신분이 뚜렷이 구분되었다. 궁중의 의복에 나타난 자수 장식은 중국과 다른 우리나라 특유의 독창적인 것이었다. 이런 의복의 자수는 궁중의 수방나인이나 침선나인들에 의해서 이루어졌다. (4) 생활자수 옛 여인의 소담스러운 마음과 생활의 지혜가 담겨있어 친근감을 안겨준다. 이런 생활 자수는 베갯모‚ 수방석주머니‚ 수저집‚ 붓 주머니‚버선주머니‚ 안경집‚ 수부채‚ 바늘꽂이‚ 골무 등 생활 곳곳에 쓰여져 다양할 뿐만 아니라 다른 자수에 비하여 남아 있는 자수품이 풍부하다. <참고문헌> 한국민속대사전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