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제기

추천0 조회수 56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제기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0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제기(祭器): 제사 때 쓰는 그릇. 예기(禮器)라고도 함. <일반적 형태> 제사에 쓰이는 그릇으로 일반 그릇과는 다르게 만들어져 있다. 편을 담은 편틀은 네모로 크게 만들어져 쓰지 않을 경우에는 여러 개를 포개어 간수할 수 있다. 그리고 접시류는 둥근 모양에 밑으로 높은 받침이 붙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제기에는 목기(木器)가 많고 유기나 사기도 있으며‚ 크고 높은 제상과 함께 별도로 보관했다가 제사 때에만 사용하게 되어 있다. <제기의 종류> 제기에는 대략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1) 향로(香爐) : 향을 피우는 작은 화로 (2) 향합(香盒) : 향을 담는 그릇으로 사기‚ 농쇠‚ 나무 등으로 만듦 (3) 모사기(茅沙器) : 모사를 담는 그릇으로 보시기 같이 생겼으며 굽이 아주 높음 (4) 주독(主犢) : 신주를 모시는 독 (5) 신주(神主) : 위패로 고인의 위를 모시는 나무패‚ 대개 밤나무로 만들되 길이는 여덟치 폭은 두치 가량이다. 나무 대신 종이로 만든 신주를 지방(紙榜)이라고도 한다. (6) 변(邊) : 실과와 건육을 담는 제기로 원래는 대나무로 굽을 높게 엮어서 만들었다. (7) 두(豆) : 김치‚ 젓갈을 담는 제기로 굽이 높고 뚜껑이 있음 (8) 병대(餠臺) : 떡을 담는 제기로 윗판은 사각형임 (9) 탕기(湯器) : 국을 담는 그릇으로 여러가지 크기의 것이 있음 (10) 시접(匙?) : 수저를 올려 놓는 제기로 대접 비슷하게 생겼다. 앞서 수저로 이 시접을 세번 가볍게 두드려 신령에게 고했다. (11) 주배(酒杯) : 술잔으로 잔대(잔받침)를 가지고 있다. (12) 준작(?爵) : 주기로서 사기나 구리로 만드는 데 꼭지가 있고‚ 밑바탕에 굽이 있는 것을 이(彛)라고 한다. 준에는 소 모양의 희준‚ 코끼리 모양의 상준 등 여러가지가 있고‚ 작에는 새부리 모양으로 생겨 술을 따르는데 쓰였다. (13) 조 : 고기를 담는 그릇으로 나무로 만들며 발이 달렸음 (14) 적대(炙臺) : 편대로 적을 올리는 그릇인데 나무로 만들어 발이 달렸음. <참고문헌> 한국민속대사전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