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수막새

추천0 조회수 15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수막새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0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기와는 지붕을 덮는 건축부재이다. 그 사용처와 형태에 따라 기본기와‚ 막새기와‚ 특수기와 등으로 크게 분류할 수 있다. 가장 기본적이고 많은 수량을 차지하는 기본기와는 지붕바닥에 닿는 암키와(平瓦)와 그 상부에 이어 기왓등을 형성하는 수키와(圓瓦)로 구분된다. 막새는 건물의 처마 끝에 사용되는 무늬기와로 기본기와의 한쪽에 드림새를 덧붙여 제작한다. 특수기와는 사용될 위치에 부합되는 각각의 형태로 만들어진다. <발달과정/역사> 목조건물에 기와를 지붕재료로 사용하는 풍습은 고대 동양건축의 주요한 특색이다. 기원은 중국의 주(周)시대부터 사용된 것으로 추정되며 진한(秦漢)시대에 매우 성행하였다. 우리나라에서는 기원전후 한시대의 낙랑군에 의해 북부지방에 전파되어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 <일반적인 형태 및 특징> 막새는 지붕의 추녀 끝에 사용되며 수키와의 끝단에 원형 혹은 타원형의 드림새(垂板)를 부착한 수막새(圓瓦當)와 암키와의 끝에 곡면으로 휘어진 장방형의 드림새를 부착한 암막새(平瓦當)으로 구분된다. 막새는 여러 가지 무늬를 음각한 목제 또는 도제(陶製)의 틀에서 찍어내어 제작한다. 드림새에 새겨진 연꽃(蓮花)·당초(唐草)·보상화(寶相華)·귀면(鬼面)·금수(禽?) 등의 다양한 무늬와 제작기법상의 차이는 시대와 지역에 따라 다른 양상을 보이므로 미술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도 활용된다. 회백색(灰白色) 수막새로 바탕흙(胎土)에는 모래알갱이가 다량 함유되었다. 구운 상태는 양호하고 수키와부분과 막새부분 1/3정도가 남아있다. 막새면에는 씨방(子房)을 중심으로 꽃잎 4개가 붙은 복판연화문(複瓣蓮花文)이 시문되었다. 씨방은 반을 자른 공모양으로 둥글게 튀어나왔고 씨방과 꽃판(花瓣)사이에는 굵은 돋을띠(突帶線)가 1줄 돌려져 있다. 꽃판(花瓣)에는 현재 연꽃잎 4개가 붙어 있으나 복원하면 10개가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꽃잎은 끝이 갈라져 있고 전체에 돋을띠가 돌려져 있다. 꽃잎은 중심선도 돋을띠로 나타냈으며 꽃잎과 꽃잎사이에는 Y자형의 간판(間瓣)이 배치되어있다. 그리고 꽃판과 막새가장자리(周緣)사이에는 도랑 모양으로 패여있고(溝狀圈) 막새가장자리에는 구슬무늬(?文)을 규칙적으로 배열했으며 꽃판과 막새가장자리를 접합하면서 밀린 흔적이 있다. 이런 막새는 막새가장자리와 꽃판을 한 데 덧대어서 만들고‚ 막새는 수키와와 결합시킨 후 흙(補講土)으로 그 사이를 덧발라 접합시키고 물손질로 마무리하였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