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백자(白磁)대접

추천0 조회수 14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백자(白磁)대접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0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규사와 산화알루미늄을 주성분으로 한 정제된 고령토에 장석질의 유약을 입혀 1300~1350℃에서 환원염 소성하여 유리질화된 순백의 반투명질 자기이다. 백자의 종류는 순백자‚ 백자청화‚ 백자철화‚ 백자동화 등이며 넓게 철채나 흑유 등도 포함한다. <발달과정/역사> 고화도로 구워낸 연질백자는 이미 통일신라 말경부터 청자와 함께 소성한 것으로 보인다. 이 때의 백자는 기벽의 두께가 일정하지 않고 유약에도 미세한 빙렬이 있으며 1300℃정도의 고화도로 소성하지 않아서 무른편이다. 11세기에는 초기백자보다 퇴보하여 태토에 잡물이 섞이고 유약이 얇게 입혀지며 태토와 유약이 밀착되지 않아서 유약이 떨어져 나간 예가 많다. 12세기에서 13세기까지는 전대보다 조금 발전을 하였으나 14세기 후반에 비로소 기벽과 유약이 두텁고 표면이 단단한 경질백자를 제작하게 된다. <일반적인 형태 및 특징> 물이나 유동성이 있는 음식물 등을 담을 때 쓰는 식기이다. 위는 넓적하고 아래는 평평하며 운두가 낮은 그릇으로‚ 재료에 따라 은대접‚놋대접‚사기대접 등이 있다. 구경(口徑)이 보통 대접보다 1.5배 정도 큰 대접이 있는데‚ 이것을 연잎[蓮葉]대접이라 하며‚ 놋쇠‚백통 제품이 많고‚ 대개 가장(家長)의 국그릇으로 쓴다. 바탕흙(胎土)은 불순물이 포함된 점토로 색조는 회백색(灰白色)이고 공기방울(氣泡)이 부분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유약색(釉色)은 유백색(乳白色)이고 유약은 전면에 발랐으며(施釉) 유약이 약간 흘러내렸다. 그리고 내외면에 빙렬이 있다. 대접(杯身)은 둥그스름하게 벌어져 올라갔고 아가리(口緣部)는 내면이 외면보다 심하게 벌어져서 바깥에서 각을 이루고 있다. 대접(杯身) 외면은 전체가 깎기로 둥글게 하려했고 굽의 내면은 둥글게 깎아냈으며 내면에는 나선형의 회전 흔적이 생겨있다. 굽의 외면은 비스듬히 안으로 들어갔고 아랫부분이 얕게 깎여있어 윗부분을 잘라내서 거꾸로 세운 삼각형(截頭倒立三角形) 굽이다. 다른 그릇을 겹쳐 구울 때 붙지 않게 하려고 고온에서도 녹지 않는 내화토(耐火土) 비짐을 대서 생긴 받침눈이 대접 내면 아랫부분(內底面)에 6개‚ 굽바닥에는 5개가 남아 있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