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 홈
뚜껑있는 굽다리접시
- 저작물명
- 뚜껑있는 굽다리접시
- 저작(권)자
-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 출처
- 공표년도
- 창작년도
- 2015-01-30
- 분류(장르)
- 사진
UCI 로고
- 요약정보
- <정의> 낮은 접시나 깊은 완모양 그릇에 다리모양의 긴 굽이 붙은 토기이다. 한자로는 고배(高杯)라고 부르며 뚜껑이 없는 것(無蓋高杯)과 뚜껑이 덮혀 있는 것(有蓋高杯)으로 구별되기도 하고‚ 다리에 뚫려있는 구멍의 배치형태에 따라 2단투창고배(二段透窓高杯)와 1단투창고배(一段透窓高杯)‚ 투창없는 고배(無透窓高杯) 등으로 나누어지기도 한다. 굽다리에는 삼각형‚ 사각형‚ 원형‚ 불꽃모양 등 다양한 형태의 구멍을 뚫었다. 백제의 굽다리접시는 높이가 낮고 굽다리에 둥근 구멍이 뚫려 있다. 반면 신라의 굽다리접시는 뚜껑이 있는 것과 없는 것‚ 높이가 높은 것과 낮은 것 등 형태가 다양하고 굽다리에는 사각형 구멍이 2단으로 아래위로 엇갈리게 뚫은 특징이 있다. 가야의 굽다리접시는 뚜껑이 있고 굽다리에 삼각형구멍이 있거나 아래위로 나란하게 배치된 사각형 구멍이 배치되는 것이 특징이다. 흔히 토기의 형태로 제작되지만 청동기나 목기로 제작되는 경우도 있다. <발달과정/역사> 굽다리접시는 한국‚ 중국‚ 일본 등 동아시아 일대의 선사시대 및 고대 용기문화에서 자주 보이는 그릇의 한 종류이다. 이는 나물이나 고기를 담는 그릇이며 제기로서 가장 많이 사용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굽다리접시가 한 시대의 토기유물군 중 주된 기종으로 등장하는 것은 청동기~초기철기시대 부터이고 삼국시대에 들어서는 특히 신라와 가야지역에서는 아주 중요한 기종이었다. 그래서 이것이 가장 다양하게 발전한 지역은 단연 신라와 가야지역이다. 고구려지역에서는 굽다리접시라는 기종을 보기 어렵고 백제지역은 굽다리접시가 적지 않게 제작되기는 하였지만 신라와 가야지역 만큼 풍부하고 다양하지는 못하다. <일반적인 형태 및 특징> 기본적인 형태는 낮은 접시나 깊은 완 혹은 바리와 같은 접시(杯身)에 원통형 또는 나팔형의 다리가 결합된 모습인데‚ 다리를 장식하거나 중량을 가볍게 할 목적으로 삼각형 또는 사각형의 굽구멍(透窓)을 뚫는 경우가 흔히 있다. 굽다리접시가 가장 다양하고 양적으로 풍부하게 제작된 시대는 삼국시대로‚ 토기의 형태에 따라 신라식과 가야식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신라식 굽다리접시는 다리의 통이 넓고 외형이 직선적인 원뿔모양이다. 그리고 다리에 2단으로 투창을 뚫을 때 위단과 아래 단을 서로 엇갈리게 하여 사다리꼴의 넓은 굽구멍을 뚫는다. 이에 비해 가야식의 굽다리접시는 다리가 길고 외형이 곡선적으로 펼쳐지는 나팔모양이다. 다리의 굽구멍도 위아래로 나란히 긴네모꼴로 뚫고 있다. 이런 굽다리접시는 6세기로 들어서면 전체적으로 다리가 짧아지고 굽구멍도 형식적으로 뚫리거나 아니면 생략되기도 한다. 이 토기는 굽다리접로로 한 바퀴 돌렸으며‚ 그 안으로는 역시 5개의 선으로 이루어진 집선문 4개를 꼭지에서 가로로 그어진 집선문까지 세로로 긋고 있다. 이 집선문은 5개의 살로 이루어진 도구(5齒具)를 이용하여 한번에 그은 것이다. 아가리(口緣部)는 짧고 곧으며 드림턱은 비교적 넓다. 토기 내 ‚ 외면에는 바탕흙 속에 포함된 잡물(雜物)들이 열에 녹아 분출한 작고 검은 점들이 나타나 있다. 굽다리접시(高杯)는 도질토기로 표면색상은 황색빛을 띠는 회색이며 아가리 일부가 떨어져 나갔으나 거의 완전한 형태이다. 굽다리(臺脚部)일부가 휘어졌으나 구운 상태는 비교적 양호하며‚ 바탕흙은 가는 돌 알갱이가 함유된 점토를 사용하였고‚ 속심은 회백색을 띤다. 접시(杯身)는 넓게 퍼지면서 완만하게 벌어졌고‚ 뚜껑받이턱은 수평으로 넓게 벌어졌으며‚ 아가리는 약간 안으로 들어갔다. 그리고 아가리입술은 칼로 잘라낸 듯이 편평한 모양이다. 굽다리는 세로로 곧고 길게 내려오다가 아랫부분에서 나팔모양으로 확 벌어진 형태로‚ 간격을 두고 2줄의 돋을띠(突帶)를 돌려 굽다리를 3등분하고 있다. 첫 번째와 두 번째 단에는 세로로 좁고 긴 사각형 굽구멍(透窓)을 각 3씩 서로 열을 맞추어 뚫고 있다. 굽다리끝의 윗면에도 날카롭고 좁은 1줄의 돋을띠를 돌렸다. 접시의 내부바닥‚ 뚜껑받이턱‚ 아가리‚ 굽다리 외면 등에는 자연적으로 생겨난 암록색(暗綠色) 유약이 비교적 두텁게 흘러내렸으며‚ 일부는 산화되어 떨어져 나간 곳도 있다. 굽다리의 바닥부분은 자주빛이 약간 도는 회색을 띠며 2군데 크고 검은 반점이 있는데‚ 그 위에는 토기를 구운 때 깔았던 짚 같은 유기물(有機物)이 소량 부착되었으며‚ 굽다리 내부 위쪽은 검게 그을렸다. 접시 외면과 굽다리 일부에는 작고 검은 점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것은 토기를 굽는 과정에서 바탕흙 속에 포함된 잡물(雜物)들이 열에 녹아 분출한 것이다. 시에 뚜껑(蓋)이 달린 형태이다. 뚜껑은 도질토기(陶質土器)로‚ 외면이 흑회색(黑灰色)을 띠고 내면은 회색을 띠며‚ 완전한 형태(完形)이다. 토기 윗면이 대체로 흑회색을 띠는 반면‚ 꼭지와 그 주변에는 불기운이 충분히 닿지 않지 않아 밝은 회색을 띠는 등 구운 상태는 그다지 양호하지 않으며‚ 바탕흙(胎土)은 모래 알갱이가 함유된 점토를 사용하였고‚ 속심은 회색을 띤다. 뚜껑은 넓게 퍼졌다가 가장자리에서 갑자기 아래로 꺾여 들어가며‚ 다시 밖으로 벌어져 드림턱을 돌출시겼다. 중앙에는 단추모양꼭지(?形?)가 부착되었고‚ 뚜껑(蓋身) 외면의 중간부분에는 5개의 선으로 이루어진 집선문(集線文)을 가
- 저작물 파일 유형
- 저작물 속성
- 1 차 저작물
- 공동저작자
- 1유형
- 수집연계 URL
- http://www.emuseum.go.kr
- 분류(장르)
- 사진
- 원문제공
-
원문UR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