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목 긴 항아리

추천0 조회수 17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목 긴 항아리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0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둥근 몸통에 긴 목이 붙어 있는 그릇으로 장경호(長頸壺)라고도 한다. 몸통과 목의 높이비가 3:1이상 되는 것을 보통 목 긴 항아리로 부르며 목의 길이가 아주 짧은 항아리와 구별된다. 목 긴 항아리는 조‚ 기장‚ 수수‚ 벼 등 주로 곡물을 저장하는 용기로 사용되기도 하였으나 대부분은 무덤의 껴묻거리로 많이 나온다. 집터‚ 성터 등 사람들이 생활하던 장소에서는 나오는 예가 많지 않다. 목 긴 항아리는 다리가 있는 것과 없는 것‚ 뚜껑이 있는 것과 없는 것 등 형태가 여러 가지이다. <발달과정/역사> 목 긴 항아리는 굽다리접시와 함께 신라‚ 가야토기의 대표적인 그릇형태이다. 일반적인 의미로서 긴 목이 달린 항아리형태는 신석기시대의 빗살무늬토기에서 보이며 청동기‚ 삼한시대에도 계속 사용된다. 특히 검은간토기는 청동기시대의 토기로 긴 목이 붙은 광택이 나는 항아리인데 여기에 쇠뿔모양손잡이(牛角形把手)와 조합되어 삼한시대 와질토기의 쇠뿔손잡이가 붙은 항아리로 변화되어 간다. 목 긴 항아리가 유행하는 것은 삼국시대인 5∼6세기 대이고 이 시기에는 백제‚ 신라‚ 가야지역의 무덤에서 여러 가지 형태의 목 긴 항아리가 출토된다. 신라가 삼국을 통일한 이후가 되면 목 긴 항아리는 사라진다. 이 항아리는 통일신라시대에 중국에서 새로운 기형인 병모양 그릇이나 인화문(印花文)이 있는 유개호(有蓋壺) 등이 들어서면서 굽다리접시와 함께 쇠퇴기에 접어든다. <일반적인 형태 및 특징> 긴 목 항아리는 나라별 차이가 있어서 백제지역‚ 신라지역과 가야지역은 각각 그 특징이 있다. 백제의 목긴 항아리는 목이 위로 향하면서 크게 밖으로 벌어져 아가리지름과 몸통지름이 거의 같고 몸통이 세로로 길며 다리가 붙지 않는다. 그러나 신라의 목 긴 항아리는 목과 어깨의 접합부가 각을 이루고 바닥에 굽다리(臺脚部)가 달리는 경우가 많으며 각종 기하학적인 무늬를 뚫은 것 외에 조그만 토우를 붙이기도 한다. 그리고 가야의 목 긴 항아리는 목과 어깨가 곡선적으로 연결되고 대개 굽다리가 없으며 따로 만들어진 굽받침이나 높은 그릇받침에 얹혀지는데 무늬는 주로 물결무늬에 한정된다. 도질토기로 밝은 회색(明灰色)이며 파손된 것을 복원했고 목(口緣部) 1/2과 몸통 군데군데가 남아있지 않다. 바탕흙(胎土)에는 고운 점토가 사용되었고 구운 점토가 사용되었고 구운상태가 양호하다. 목(口緣部)과 몸통(胴體部)의 경계에는 1줄의 돋을띠(突帶)가 돌려져 뚜렷이 구분지어졌고 목은 나팔모양으로 벌어지다가 아가리(口緣部)에서는 확 벌어지는 모양이다. 아가리끝(口緣部)은 두껍고 납작한 면이 있고 이 면에는 가는 선이 두 줄 돌아간다. 목에는 두 줄의 연속된 돋을띠(突帶)를 돌려져 목이 두 부분으로 나눠졌고 각각에 물결무늬선(波狀文線) 5-6줄에 그려져 있다. 몸통의 어깨가 둥글고 몸통 아래부분도 둥글며 어깨(肩部)가장자리에는 둥글게 한 대야바닥(抹脚平底)으로 불기운이 직접 닿지않아 황색빛이 돌며 짚같은 유기물이 약간 붙어있다. 몸통 내면에는 회전물손질을 해서 둥근테를 여러 개 겹친 모양을 하고 있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