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청자상감조류문대접

추천0 조회수 86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청자상감조류문대접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0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철분이 극소량 들어 있는 태토위에 철분 1~3%의 장석유를 바르고 환원염으로 구워 유약 속의 철분이 청록색으로 변한 자기를 말하는데‚ 청자색을 진하게 하기 위해서는 유약을 여러 번 두껍게 발라야 한다. 대체로 환원이 불충분하거나 또는 불순물이 함유되거나 해서 유색이 황록색이나 회녹색‚ 때로는 산화되어 황갈색을 띤 것도 청자로 부르고 있다. 다만 구리 성분의 산화에 의한 녹유는 청자에 포함되지 않는다. 청자는 그 발달과정 및 기법상의 변화에 따라 순청자‚ 청자상감‚ 청자철회‚ 청자철채‚ 청자화금‚ 청자동화‚ 청자퇴화문‚ 청자연리문 등이 있다. <발달과정/역사> 우리나라에서 청자의 발생은 10세기 후반에 고려의 중앙집권화 및 신지배층의 중국도자에 대한 수요에서 청자제작이 되면서부터이다. 즉‚ 10세기 전반까지는 통일신라시대의 질그릇의 양상을 지니고 있어서 고려청자로의 진전은 고려의 중앙집권화가 추진되고 중국의 제도‚ 문물을 배우는 과정에서 중국의 비색청자를 열망하는 신지배층의 요구에 의해 제작이 이루어졌다. 예로 오월국이 북송에 의해 978년에 멸망하면서 월의 주요 장인들이 고려로 옴으로써 우리 도기 장인들이 청자제작기술을 배웠다. 9세기 혹은 10세기에 만들어지기 시작한 청자는 그 후 거듭 발전하여 11세기 말까지는 청자의 종류도 다양해지고 기형‚ 문양‚ 소성수법 등이 고려적으로 세련되어 대규모 청자요로 발전하였다. 12세기 초에는 기명의 음‚ 양각으로 시문하던 자리 일부에만 상감이 보이다가 그 후 기면의 전면에 확산되며 사실적인 문양이 양식화되기 시작하였다. 12세기 중엽에는 청자상감과 함께 청자철회‚ 청자동화 등이 시작되었다. 12세기 후반에서 13세기에 걸쳐 무신집권과 몽고의 침입 등으로 고려의 지배세력이 문신귀족에서 무신귀족으로 바뀌면서 청자에 대한 취향과 경제‚ 사회의 변화에 따라 청자의 기형이 과장되거나 문양이 촘촘해지는 등의 경향을 보인다. 14세기에 들어서면서 원 지배하의 권문세족과 사대부세력의 등장으로 생활용 자기의 수요가 많아지면서 대량생산이 가능한 모습으로 탈바꿈하여 조선시대 분청사기로 이행된다. <일반적인 형태 및 특징> 특색을 보면 불교사회와 귀족문화를 배경에 두고있는 고려청자는 비색과 유려한 선의 형태‚ 그리고 상감기법 및 문양을 특징으로 한다. 고려 이전의 기명이 의식용인데 반하여 합‚ 대접‚ 접시 등 실용적인 그릇으로 제작되었다. 그리고 장식용의 도자도 제작되었는데 매병은 가장 고려적인 특징을 보여준다. 물이나 유동성이 있는 음식물 등을 담을 때 쓰는 식기이다. 위는 넓적하고 아래는 평평하며 운두가 낮은 그릇으로‚ 재료에 따라으며 그 사이의 주문양대(主文樣帶)에는 아랫부분에 구름무늬를 옆으로 연속시켜 둥근 띠를 만들고‚ 그 위에 잎이 2개 붙은 물풀모양 나무와 그 양쪽 가장자리에서 물에 떠있는 듯한 형상의 오리를 한 마리씩 배치한 문양이 3곳에 배치되어 있다. 굽 외면은 안으로 약간 기울어졌고 내면은 둥글게 깎였으며 굽 안쪽에도 유약이 발려있다. 대접 내면과 굽바닥에는 구울 때 도자기 조각을 받침으로 대서 비짐 받침눈이 3‚ 4개 생겨 있다. 은대접‚놋대접‚사기대접 등이 있다. 구경(口徑)이 보통 대접보다 1.5배 정도 큰 대접이 있는데‚ 이것을 연잎[蓮葉]대접이라 하며‚ 놋쇠‚백통 제품이 많고‚ 대개 가장(家長)의 국그릇으로 쓴다. 대접은 바탕흙(胎土)이 회색이고 그 위에 암록색(暗綠色)유약이 전면에 발렸으나 작은 공기방울(氣泡)가 생겨 있고 거의 전면에 균열이 생겨있다. 그리고 파손된 것을 복원해서 아가리(口緣部)와 몸통(胴體部)이 약간씩 떨어졌다. 대접은 아가리까지 둥글고 내면에는 표면을 조각칼과 비슷한 도구로 파서 백색흙을 채워 넣는 상감문(象嵌文)이 시문되어 있다. 대접내면 윗부분에는 3줄의 선이 돌아가고 아랫부분에는 2줄의 선이 돌아가 있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