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굽은 옥

추천0 조회수 113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굽은 옥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0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옥(?)으로 만든 장신구로‚ 목걸이 끝에 장식으로 사용되었다. 유리제 경식 앞에 다는 팬던트의 역할을 하는데 3점이 출토되었다. 신라와 가야는 일반적으로 청색유리옥에 구멍을 뚫어 연결하고 늘어지는 끝에 비취?호박?수정의 굽은옥(曲?)을 다는 형식이다. 이러한 옥을 옛사람들은 천지(?地)의 정수이며 음양에 있어 지극히 순결한 것이라 생각하고 귀하게 여겼다. 옥을 몸에 지니거나 옷에 달고 다니면 약효가 나타나고‚ 잡귀를 물리칠 수 있다고 믿었다. 옥은 크게 경옥과 연옥으로 분류되는데 경옥(硬?)은 경도가 6-7‚ 비중이 3.30-3.36으로 비취(翡翠)로 휘석(輝石)의 일종이고‚ 연옥(軟?)은 경도 5.5-6.0‚ 비중 2.90-3.02로 각섬석(角閃石)의 하나로 반투명한 암녹색‚ 담회색의 보석이다. 옥의 원석을 갈고 다듬어 작은 구멍을 뚫으면 구슬이 되고‚ 이 구슬을 수 없이 꿰어 달아 길이가 목에 두르는데 알맞으면 목걸이(頸飾)가 되고‚ 가슴에까지 걸치면 가슴걸이(頸胸飾)‚ 손가락에 끼우면 반지(指環)‚ 팔목에 끼우면 팔찌(釧)가 된다. 그리고 팔에 끼우면 완천(腕釧)이 된다. 옥은 형태에 따라 구슬(小?)‚ 대롱옥(管?)‚ 둥근옥(丸?)‚ 굽은옥(曲?)‚ 겹굽은옥(母子曲?) 등으로 분류되며‚ 옥의 사용되는 물질에는 석제(石製)‚ 유리(琉璃)‚ 마노(瑪瑙)‚ 수정(水晶)‚ 호박(琥?)‚ 비취(翡翠)‚ 천하석제옥(?河石製?)‚ 황옥 등이 있다. <발달과정/역사> 구석기시대에는 옥제품을 비롯한 장신구가 보이지 않으나 신석기시대 이후에는 옥이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신석기시대에는 주로 점판암제‚ 곱돌제‚ 대리석제 등 보통의 돌을 사용하고 있지만 비취제나 흰색 옥돌‚ 벽옥제도 소량으로 사용되었다. 굽은옥과 대롱옥이 일부 나타났다. 청동기시대에는 굽은옥‚ 대롱옥‚ 구슬 등이 사용되었는데 이들의 재료는 천하석‚ 벽옥‚ 유리 등으로 고인돌(支石墓)이나 돌널무덤(石棺墓)에서 출토된다. 철기시대 옥의 형태는 정형화된 굽은옥(曲?)‚ 6면체로 정교히 다듬은 여러면옥(切子?)‚ 주산알 모양의 옥과 구슬이 있다. 삼국시대에 이르면 옥은 정형화되고 다양한 형태가 나타난다. 이렇게 다양해지는 것은 중국 옥문화의 영향으로 해석된다. 중국 옥기의 기본형식은 옥결(??)‚ 옥벽(?壁)‚ 옥종(?琮)‚ 옥규(?圭)‚ 옥황(?璜) 등으로 분류된다. 옥결(??)은 신석기시대로부터 사용되는 패식용(佩飾用)이다. 옥벽(?壁)은 원형 가운데 구멍이 있는 것으로 면의 비율에 따라 옥환(?環)과 구분되며 그 용도는 예기(禮器)와 패식(佩飾)으로 사용되었다. 옥종(?琮) 역시 제례기(祭禮器)로 외방내원형(?方박?수정의 굽은옥(曲?)을 다는 형식으로 다른 지역에서도 경옥제 곡옥이 많이 출토되고 있다. 참고문헌 韓國 先史 ?에 대한 硏究(盧希淡‚ 漢陽? 碩士學位論文‚ 1997)‚ 韓國 曲?의 硏究(崔??‚ 崇實史學 4‚ 1986)‚ 高句麗-裝身具(尹世英‚ 韓國史論 15‚ 國史編纂?員會‚ 1985)‚ 百濟-裝身具(尹世英‚ 韓國史論 15‚ 國史編纂?員會‚ 1985)‚ 新羅-裝身具(尹世英‚ 韓國史論 15‚ 國史編纂?員會‚ 1985)‚ 伽倻-裝身具(尹世英‚ 韓國史論 15‚ 國史編纂?員會‚ 1985) 內圓形)의 형태를 가지며‚ 옥황(?璜)은 장식용으로 사용되었다. 삼국시대의 경옥제 곡옥이 일본에서 기원하였다는 설이 있었으나 최근의 분석결과 국내산이라는 해석이 나오고 있다. 삼국시대 이후에도 옥을 여러 가지 형태로 만들어 꾸준히 사용되었다. <형태 및 특징> 기본적인 형태는 비취 즉 경옥을 재료로 해서 크기 5cm의 반달꼴로 만들고 구멍을 뚫었다. 곡옥의 형태가 자궁속의 태아와 닮았다고 해서 곡옥의 기원을 유추하기도 한다. 이 곡옥은 복천동 15호분에서 출토되었는데 유리제 경식 앞에 다는 팬던트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되며 3점이 같이 출토되었다. 나머지 2점은 형태는 이와 똑같으나 크기는 3cm정도로 작다. 신라와 가야는 일반적으로 청색유리옥에 구멍을 뚫어 연결하고 늘어지는 끝에 비취?호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