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떡살

추천0 조회수 65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떡살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0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떡‚ 특히 절편을 눌러 모양이나 무늬를 찍어내는 도장과 같은 판. 흔히 떡판이라고 하며‚ 떡손·병판(餠板)·성황판(城皇板)·화병판(畵餠板)·화병판(花餠板)·수복판(壽福板) 등으로도 불렸다. 떡판을 만드는 재료로는 박달나무·참나무·소나무 등과 같이 목재가 널리 쓰였으나 사기나 자기로도 만들었다. 형태는 원형과 장방형이 많은데‚ 둥근 것은 자기나 사기로 만드는 경우가 많았고‚ 네모난 것은 나무로 만드는 경우가 많았다. 떡살의 문양으로는 형태적으로 기하문·동물문·식물문·문자문 등으로 나눌 수 있으며‚ 문양이 담고 있는 상징별로는 장수기원문·풍요다산문· 벽사기원문·부귀기원문·초복기원문 등이 많다. 떡살이 등장한 것은 절편의 등장과 맞물리는데‚ 16세기 중반에 지어진 ≪묵재일기(?齋日記)≫에 절편에 관한 기록이 실려 있는 것으로 보아 적어도 그 무렵에는 절편을 만들어 먹었을 것으로 보이며‚ 떡살도 대략 비슷한 시기에 쓰였을 것으로 보인다. 오늘날에는 떡살이 점차 사라지는데‚ 그 원인은 기계화하고 전문화한 떡가게의 등장과 외래 음식의 소비 증가 등이 주요 원인이다. 특히 여성의 사회진출과 주거공간의 변화로 인해 가사노동의 대부분이 여성의 손을 떠나면서 복잡하고 번거로운 떡만들기는 점차 상업화하게 되었고‚ 이에 따라 떡살도 가정 내에서 점차 사라지게 되었다. 대신 떡살은 기계화하였고‚ 문양의 종류나 상징성도 그에 따라 점차 사라지고 있으나‚ 옛 떡살의 문양은 전통적 디자인의 소재로 각광을 받고 있고‚ 떡살 자체가 하나의 장식품으로 기능 변화를 일으키고 있다. 이 유물은 원형 떡살면에 반원형 손잡이가 있는 형태로 손잡이 끝에 마를 엮어 만든 끈이 달려 있고‚ 원형 떡살면에는 직선이 엇갈려 음각되어 있다. <참고문헌> 한국민속대관 2(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80) 떡살의 이용양상과 문양의 의미(장상교‚ 안동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001) <사진자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7(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1‚ p.483) 한양대학교 수장 유물선(한양대학교 박물관‚ 1995‚ pp.327-329) <비디오/CD롬 자료> 한국의 문양디자인 1-떡살과 다식판(한국민속박물관회발행‚ 국립민속박물관 편‚ 2001) <유사/관련 용어> 기하문‚ 다식판‚ 동물문‚ 떡‚ 떡살‚ 떡손‚ 목공예‚ 묵재일기‚ 문자문‚ 박달나무‚ 벽사기원문‚ 병판‚ 부귀기원문‚ 성황판‚ 소나무‚ 수복판‚ 식물문‚ 장수기원문‚ 절편‚ 참나무‚ 초복기원문‚ 풍요다산문‚ 화병판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