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장군칼(小)

추천0 조회수 154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장군칼(小)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0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굿에서 쓰이는 무구(巫具)의 하나. 장군칼은 무당이 신격으로 모시는 장군의 위엄을 나타내는 데 쓰이는 칼이다. 무당이 굿에서 사용하는 도검류(刀劍類)로는 신칼·월도(月刀)·삼지창·작두가 있는데 각 굿거리에서 모시는 신령의 종류에 따라 장군칼‚ 신장칼‚ 대신칼‚ 칠성칼 등 다양한 종류로 나뉜다. 신칼의 연원은 《삼국유사》에 실린 단군신화에서 찾을 수 있다. 환웅이 인간세상에 내려올 때 가져온 천부인(?符印) 3개는 칼‚ 방울‚ 명두(明斗)로서 무당의 삼신기(三神器)로 일컬어진다. 칼은 물건을 자르는 실용적인 용도도 있지만 상징적인 용도로도 사용된다. 이때 칼은 통솔자의 권위를 나타내거나 제의에서 신의 위엄과 영험함을 나타낸다. 무속에서는 주로 영웅신이나 역병이나 악귀를 물리치는 성격을 가진 신령을 제사지낼 때 그 신의 위엄을 나타내기 위한 도구로써 사용된다. 무당이 모시는 신의 성격에 따라 다양한 복식을 갖추듯이 무구 또한 신의 성격에 따라 달라진다. 월도와 삼지창은 장군거리나 신장거리에서 신의 위엄을 상징할 때 사용되는데 특히 굿의 효험을 확인하기 위해 `사실세우기`를 할 때 쓰인다. 신칼은 부정을 풀거나 잡귀를 물리칠 때‚ 망인의 넋을 올릴 때‚ 신점을 칠 때 사용된다. 작두는 신의 영검을 보이기 위해 작두타기를 할 때 사용된다. 굿에서 쓰이는 칼은 신의 위엄을 보이는 것이 주된 기능이므로 세습무보다는 강신무의 굿에서 많이 사용된다. 지역별로 보면 중·북부 지방은 크기나 모양이 실물에 가깝고 그 종류도 다양하다. 하지만 중부 이남 지방에서는 모형에 지나지 않는 작은 칼을 쓴다. 무당칼은 철로 만들어진 것이 대부분이지만 대나무로 만든 것도 있다. 대신칼‚ 칠성칼‚ 장군칼 등 한 쌍으로 된 것과 군웅칼‚ 청룡도‚ 언월도처럼 낱 개로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 크기나 모양은 지방에 따라‚ 그리고 모시는 신의 성격에 따라 다양하다. 예를 들어 칠성거리에서 사용되는 칠성도의 경우에는 크기가 3척 이상 되는 것도 있고‚ 제주도의 신칼은 보통 1척도 되지 않는 작은 칼이다. 이 장군칼은 만구대택굿 여러 거리 중 장군거리에서 쓰인다. 역사적으로 유명했던 장군들을 신으로 모시는 장군거리에서 무당은 장군님들의 용맹과 영험을 보이기 위해 칼춤을 춘다. 칼춤을 추어 장군신을 즐겁게 하여 장군신이 갖고 있는 위엄을 빌려 잡귀잡신을 물리치는 과정이다. 이렇게 칼로 잡귀잡신을 물리치는 것은 칼이 갖고 있는 무기의 성격을 보여주는 것이다. 장군칼은 보통 나무로 자루를 만들고 놋쇠로 날을 만든다. 신칼과 마찬가지로 한 쌍으로 된 것이 많다. 황해도 만신들 사이에서는 수많은 장군 신령들이 만신집에서 행해진다. 무당일생에 3번하면 많이 한다고 할 만큼 어려운 굿으로 무당이 시집을 가거나 회갑 또는 진갑‚ 칠순일 경우 등 중요한 통과의례시에 하는 것이 상례이다. <참고문헌> 무-한국의 역사와 현상(조흥윤. 민족사. 1997) 한국민속학논고(이두현 외‚ 보성문화사‚ 1986) 조선무속의 연구(赤松智城·秋葉隆/심우성 역‚ 동문선‚ 1991) 큰무당우옥주유품(국립민속박물관. 1995) 무속고 1(장성만. 민산출판사. 1992) 한국의 유기(광주민속박물관. 1996)‚ 제주도 무속(문화재관리국 문화재연구소‚ 1990)‚ 한국의 무속-서울·황해도 편-(국립민속박물관‚ 1999) <사진자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7(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1‚ 368쪽) 한국무속도록(김태곤‚ 집문당‚ 1982) 큰무당우옥주유품(국립민속박물관‚ 1995‚ 83∼90쪽) <유사관련용어> 무도(巫刀)‚ 무당칼‚ 무구(巫具)‚ 신칼‚ 신장칼‚ 대신칼‚ 군웅칼‚ 칠성칼‚ 청룡도‚ 일월도‚ 언월도 봉신되기 때문에 황해도 만신은 장군발이 세다는 말까지 생겨났다. 장군님이 사용하는 칼로서 종류가 다양하다. 작은 칼부터 시작하여 차츰 큰 칼을 가지고 논다. 황해도 대탁굿은 만구대탁굿이라고도 하는데 황해도지방에서 행해지는 굿이다. 이 굿은 만 가지의 구설수와 액을 크게 막고 가리며 무당자신과 단골의 행운을 축원하는 내용으로서 그 규모가 크다. 이 굿은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