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삼태기

추천0 조회수 47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삼태기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0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거름이나 재·곡식·흙을 퍼담아 나르거나 뿌리는 데 사용하는 농기구. 아궁이의 재를 퍼내거나 쓰레기·흙 등을 퍼 옮기는데 사용되고‚ 타작할 때는 곡식을 퍼담는 데도 쓰인다. 또 밭일을 할 때는 옆구리에 끼고 씨‚ 거름을 뿌리기도 하는 등 다양한 용도로 쓰이는 도구이다. 《농사직설 農事直說》의 `분`‚ 《해동농서 涇東農書》의 `양람`·`삼`‚ <농가월령가>의 `두`는 모두 삼태기를 일컫는 말이다. 지역에 따라 명칭이 다양하고‚ 개똥삼태기처럼 쓰임에 따라 이름을 붙이기도 한다. 삼태기를 짜는 재료는 가는 싸리나 대오리·칡·짚(새끼)·밀짚 등 다양하다. 산간지역에서는 칡이나 싸리로 짜고‚ 대나무가 많은 지역에서는 대나무로 짜는데 양쪽에 손이 들어갈 만큼 구멍을 내어 손잡이로 삼는다. 짚새끼로 짤 때는 위쪽에 덩굴성 나무를 U자로 휘어 손잡이로 삼고 이것에 의지하여 바탕을 짠다. 모양은 뒤가 오긋하고 앞이 헤벌어져 있어 낱알이나 가루로 된 물질을 담고 뿌리기에 알맞은 형태로 되어 있다. 앞쪽의 바닥은 두 겹으로 짜는데‚ 이는 곡식‚ 재 등을 퍼담을 때 찌그러지거나 밀리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삼태기는 부피를 재는 데도 사용되었는데‚ 우리 나라에서는 땅 한 평에는 3삼태기의 거름을 준다는 말이 전해오고 있다. 또한 퍼담는다는 의미를 강조하여 복을 받는 것으로도 이해하고 있다. 요즘은 함석·플라스틱 제품이 나와 전통적인 삼태기는 거의 찾아볼 수 없게 되었다. <참고문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의 농기구(김광언‚ 문화공보부 문화재관리국‚ 1969) 한국농기구고(김광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986) 제주도의 농기구(제주도민속자연사박물관‚ 1998) 한국의 재래농기구(박호석‚ 농업기계화연구소‚ 1990) <사진자료> 한국의 농기구(김광언‚ 문화공보부 문화재관리국‚ 1969) 제주도의 농기구(제주도민속자연사박물관‚ 1998)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한국정신문화연구원) <기타참고> 그림:한국의 재래농기구(박호석‚ 농업기계화연구소‚ 1990) 제주도의 농기구(제주도민속자연사박물관‚ 1998) <유사관련용어> 칡골채‚ 밀삼태‚ 질삼태‚ 삼태미‚ 삼태‚ 꺼랭이‚ 발소쿠리‚ 짚소쿠리‚ 어랭이‚ 질삼치‚ 산태미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