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주병

추천0 조회수 33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주병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0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술병. 주로 술이나 물을 담아 쓰던 병으로 주병(酒甁)‚ 주호(酒壺)라고 한다. 주병은 술의 등장과 함께 독형태로 만들어 졌는데 점점 사용하기 편하게 가볍게 만들어 졌다. 고려시대 때의 주병은 청자로 만들어진 긴 목에 넓게 입이 벌어졌으며 풍만한 몸체를 이루고 있으며‚ 또한 각이 잡힌 몸체의 병도 보여지고 있는데 이때 특이한 점은 뚜껑이 달려 있으며 병과 뚜껑을 이어주는 고리가 있다. 조선시대에는 주둥이[口緣部]가 벌어지고 목이 짧으며 몸체가 풍만해지고 위로 올라가면서 오므라들면서 목이 짧게 구부러진 형태에 입술이 벌어진 형태를 지닌 것과 목이 길고 두꺼운 목주병도 보여진다. 목주병은 목이 길고 주둥이가 도톰하고 둥글게 말린 병 형태이며 기벽이 두터워 대단히 무거운 점이 특징이다. 목이 길어 병의 손잡이 역할을 겸하였고 입술은 술이나 물을 따르고 나서 흘러내리는 것을 막아 주는 기능을 하고 있다. 주병은 병의 재질에 따라 담는 술도 달라지는데 자기나 사기는 나무‚ 박으로 만든 호리병 형태의 주병은 청주나 약주를 담고‚ 오지로 된 주병은 탁주를 담는다. 이 유물은 몸통에 청화(靑畵)로 포도문을 넣고 곳곳에 소성과정에서 나타난 움푹 패인 부분이 있다. 주둥이는 완만하게 바라졌다. 바닥부위 2곳에 글씨가 있다. <참고문헌> 주생활 기명‚ 기구에 관한 연구(정경례‚ 한양대 석사학위논문‚1993) 도자 식기 개발에 관한 연구(김미경‚ 이화여대 석사학위논문‚ 1989) 한국의 민속공예(맹인재‚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79) KOREAN ART BOOK-백자‚ 분청사기Ⅰ‚Ⅱ-(김재열‚ 예경‚ 2000) 우리의 부엌살림(윤숙자·박록담‚ 삶과 꿈‚ 1997) 한국의 부엌(김광언‚ 대원사‚1997)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