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써래

추천0 조회수 57 다운로드 수 3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써래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0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써래는 쟁기로 갈아놓은 논바닥의 흙덩이를 부수거나 바닥을 판판하게 고를 때 사용하는 농기구. 보통 긴 토막나무에 지름이 약 5cm 정도 되는 둥글고 끝이 뾰족하게 생긴 작은 말뚝 6∼10개를 빗살처럼 나란히 박은 다음‚ 그 위쪽에 3개의 토막나무를 연결하여 손잡이를 가로댄다. 그런 다음 써래 몸체 양 앞쪽으로 긴 통나무를 비스듬하게 연결하여 여기에 줄(봇줄)을 맨다. 이 줄을 소의 멍에에 연결하여 소가 끌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일부지역에서는 봇줄을 매지 않고 봇줄 대신 양 나루채 자체를 나무로 길게 만들어 직접 소의 멍에에 연결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몸체는 보통 소나무로 만들며 써래발은 참나무나 박달나무와 같이 단단한 나무를 이용하지만 한두해가 지나면 교체한다. 써레의 무게는 보통 10kg 내외로‚ 소 1마리와 남자 한 사람이 하루에 2‚000여 평의 논을 다룰 수 있다. 써레질이 끝나면 논농사의 중요한 고비 하나를 넘긴 셈이므로 `써레시침`이라 하여 음식과 술을 장만하여 농악을 치면서 하루를 즐기는 풍습도 있다. 〈참고문헌〉 《涇東農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정신문화연구원‚ 1991)‚ 한국의 농기구(김광언‚ 문화재관리국‚ 1969)‚ 한국농기구고(김광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986). 〈사진자료〉 한국민속대관5(고려대 민족문화연구소‚ 256쪽). 〈유사·관련용어〉 쓰래(경기도 덕적)‚ 써리(경상남도 영산)‚ 써으리(전라남도 영광)‚ 써그레(강원도 도계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