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도리깨

추천0 조회수 66 다운로드 수 3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도리깨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0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곡식의 이삭을 두드려서 알갱이를 떨어내는 데 사용하는 농기구. 도리깨는 거두기용 농기구로서 보리·밀·콩·녹두·팥·조·메밀 등 이삭에 달린 알곡을 떨어내는 데 사용된다. 도리깨가 언제부터 농가에서 이용되었는지는 분명하지 않지만 15세기에 편찬된 우리나라 최초의 농서인 《농사직설(農事直說)》에 다음과 같은 기록이 있다. "만약 습지가 깊어서 사람이나 소가 빠질 지경이면 고노[都里鞭]로 풀을 죽이고 씨를 뿌린다." 이 기록으로 보아 도리깨는 적어도 15세기 이전부터 사용해 온 것임을 알 수 있다. 도리편(都里鞭)은 도리깨를 이르는 말이다. 이로 미루어 보건대 당시 도리깨는 곡식 알갱이를 떠는 외에 습지대의 풀까지 죽이는 등 그 기능이 다양함을 알 수 있다. 도리깨는 선 자세로 작업을 하는데‚ 두 손을 이용하여 어깨너머로 넘기고 돌리면서 앞으로 내리쳐 알곡을 떨어낸다. 도리깨는 장부‚ 꼭지‚ 아들‚ 치마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장부는 손잡이를 지칭하고‚ 꼭지는 장부와 아들을 연결한 부분을 말한다. 아들은 꼭지 끝에 나뭇가지를 매달아 놓은 것을을 말하고‚ 치마는 여러가닥의 아들을 묶어 놓은 끈을 말한다. 이러한 명칭은 지역별로 다양하게 나타난다. 예전에 농가에서 없어서는 안될 거두기용 농기구였던 도리깨는 농기구의 기계화와 더불어 많이 자취를 감추었지만‚ 요즘에도 산간지역의 일부 농가에서는 여전히 사용되고 있다. <참고문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한국정신문화연구원) 韓國의 農器具(김광언‚ 문화공보부 문화재관리국‚ 1969) 濟州道의 農器具(濟州道民俗自然史博物館‚ 1998) 15세기 이후의 조선 농구에 관하여(홍희유‚ 문화유산‚ 1959) <사진자료> 도리깨(韓國農器具攷‚ 金光彦‚ 백산자료원‚ 550쪽) 도리깨(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6권‚ 813쪽) <기타참고> 도리깨의 지역별 명칭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6권‚ 813쪽) <유사·관련용어> 도루깨‚ 돌깨‚ 도깨‚ 꼬꼬마리‚ 꼭지‚ 꼭지미‚ 꼭두마리‚ 꼭대기 등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