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수저

추천0 조회수 27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수저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0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숟가락과 젓가락. 숟가락은 밥과 국을 기본으로 하는 우리나라의 식사습관에서 발달한 것으로 젓가락과 함께 벌을 이룬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숟가락은 청동기시대의 유적인 나진 초도패총에서 출토된 골제품(骨製品)이다. 젓가락은 공주 무녕왕릉에서 출토되었으므로 수저를 병용한 것은 삼국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중국·일본에서도 시기의 차이는 있을지언정 수저를 병용하였다. 그러다가 중국·일본에서는 점차 숟가락의 이용이 줄어들었고‚ 젓가락을 병용하는 관습은 우리나라의 독특한 관습으로 뿌리를 내리게 되었다. 그 이유는 우리 일상식의 내용이 국물음식과 국물이 없는 음식을 항상 병용하게끔 구성되었기 때문이다. 수저는 상고시대에는 주로 청동제품이었고 이후 놋쇠제품‚ 백동제품‚ 은제품으로 변천되었다. 숟가락의 경우‚ 형태는 시대가 오래 될수록 숟가락의 깊이가 깊고 자루가 곡선을 이룬다. 고려시대는 면이 좁고 길며 세련된 형태를 갖추고 있다. 그리고 자루 끝이 제비꼬리처럼 두 갈래로 갈라졌으며‚ 옆에서 보면 `S`자형으로 휘어져 있다. 조선시대에는 면이 넓고 둥글어졌고 자루의 휨도 적어졌다. 크기는 남자용이 여자용보다 좀 더 크며‚ 숟가락 윗봉에는 칠보로 장식하거나 여러 가지 문양을 새겼는데‚ 대부분 장수(長壽)를 기원하는 의미를 담고 있다. 그리고 백동 숟가락은 숟가락 중심부에 1cm 가량 은봉이 박혀있는 것이 많다. 아이가 첫돌을 맞으면 밥그릇과 수저 한 벌을 마련해 주는데‚ 이것은 삶의 시작을 의미한다. 그래서 "밥숟가락 놓는다"는 말은 생명이 다하였다는 뜻이 된다. 또한 밥을 먹다가 숟가락이 부러지거나 첫술에 밥알이 떨어지면 그 날은 재수가 없다고도 하였다. 그밖에도 수저를 멀리 잡아 음식을 흘리는 것을 막기 위해 "수저를 멀리 잡으면 시집을 멀리 간다"는 속담도 생겨났다. <참고문헌> 큰무당우옥주유품(국립민속박물관‚ 1995) 한국민속대관 2-일상생활·의식주(고려대 민족문화연구소‚ 1980) 우리의 부엌살림(윤숙자/ 박록담. 삶과꿈. 1997) 한국의 부엌(김광언. 대원사. 1997) 한국의 유기(광주민속박물관. 1996) <사진자료> 큰무당우옥주유품(국립민속박물관‚ 1995‚ 116쪽) 한국문화상징사전 2(두산동아‚ 1995‚ 441∼443쪽) 한국의 유기(광주민속박물관. 1996‚ 19∼20·87쪽)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