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양석

추천0 조회수 81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양석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0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양석(羊石)은 돌로 만든 동물 조각상(石?) 중 하나로 석양(石羊)‚ 돌양이라고도 부른다. 주로 무덤 앞이나 건물 입구 또는 주변에 설치하여 악귀나 재앙의 침입을 막고자 하였다. 양 이외에도 호랑이.사자.말 등을 돌로 조각하기도 한다. 궁전이나 능묘(陵墓)를 수호하는 석수는 중국의 전한시대(前漢代: 서기전 206-서기 24)부터 시작되어 후한 대에 후장(厚葬)의 풍습에 따라 묘를 수호한다는 뜻에서 짐승을 조각하여 묘 앞이나 둘레에 세웠던 데서 그 기원을 찾을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그와 같은 풍습이 전해져 석수가 조성되었다. 현재 알려진 가장 오래된 작품은 백제 무녕왕릉(武寧?陵)에서 발견된 석수이다. 이밖에 삼국시대의 것으로 알려진 것은 거의 없으며‚ 통일신라시대 이후 묘 앞에 석수를 세우거나 묘 둘레에 호석(護石)으로 석수를 배치하는 풍습이 성행함에 따라 현재 많은 예들이 남아 있다. 단독으로 조성된 석수 중에서는 석사자상(石?子像)이 많이 남아있고 그 이외에 석마(石馬)‚ 석호(石虎)‚ 석우(石牛) 등과 함께 석양(石羊)이 고려시대 이후 조선시대의 능묘 앞의 수호상으로서 많이 사용되었다. 능묘의 호석으로 사용된 석수의 가장 대표적인 것으로는 십이지상(十二支像; 쥐‚ 소‚ 범‚ 토끼‚ 용‚ 뱀‚ 말‚ 양‚ 원숭이‚ 닭‚ 개‚ 돼지의 12가지 동물) 조각을 들 수 있다. 석양은 사악한 것을 피한다는 의미와 함께 명복(冥福)을 비는 뜻을 담고 있다. 14세기 말 공민왕릉의 현릉(?陵)에서부터 문.무인석 각각 한 쌍씩과 돌사자(石?子)와 함께 무덤 주위에 배치되었다. 조선시대에 이르면 석양은 석호(石虎)와 함께 각각 두 쌍씩 무덤 주위에 배치되었다. 이 석양은 김성흠(金聖欽) 씨가 기증한 것으로 7대조와 3대조의 묘소를 이장하면서 옮긴 것이다. 눈이 표시되지 않았고‚ 입과 코‚ 뿔 2개가 명확히 표현되었으며 숫컷에 비해 코주름이 명확한 암컷이다. 힘이 넘치는 조각 솜씨를 바탕으로 양의 온화하고 부드러운 인상이 매우 사실적으로 표현되어 있다. <참고문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석수(石?)‚ 능묘조각(陵墓彫刻)-(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1)‚ 우리 옛 돌조각의 혼(세중돌박물관‚ 2000) <사진자료> 조선왕릉석물지 상.하(朝鮮?朝石物誌 上.下‚ 은광준 편저‚ 1985)‚ 우리 옛 돌조각의 혼(세중돌박물관‚ 2000)‚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능묘조각(陵墓彫刻)-(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1) <유사.관련용어> 석수(石?)‚ 석양(石羊)‚ 돌양‚ 능침제도(陵寢制度)‚ 능묘조각(陵墓彫刻)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