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추천0 조회수 37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0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글씨를 쓸 때 사용하는 서사(書寫)용구. 벼루에 물을 붓고 갈아서 글씨를 쓰거나 그림을 그리는데 쓰는 검은 물감이다. 먹이 언제부터 쓰였는지 정확히 알 수 없으나 후한(後漢)의 위탄이란 사람이 발명하였다고 한다. 그 이전에는 죽목(竹木)의 첨필(尖筆)에 흑칠을 해서 간독(簡牘)에 썼다고 학자들은 생각하고 있다. 옛 문헌을 살펴보면 진나라 무제 때에는 먹으로 죽간(竹簡)에 썼으며‚ 주나라 난왕시대에 <죽서기년(竹書紀年)>이라는 책이 묵사(墨寫)되었다는 것이 논증되었다. 각 나라에서 한나라에 먹을 헌납하였다는 기록이 <후한서>의 등황후전(鄧皇后傳)과 후한의 명제(明帝)가 쓴 <동관한기(東觀漢記)>에 나타나 있다. 전국시대에 들면서 먹을 서사용으로 쓰였다고 한다. 우리나라는 <철경록>에 고구려 때의 송연묵을 당나라에 바쳤다는 기록이 있으며 고구려 지역에 위치한 동수묘(冬壽墓)에 쓰여진 묵서명(墨書銘)을 보거나 담징이 제묵법을 일본에 전했다는 <일본서기>의 기록으로 보아 삼국시대에 이미 먹의 사용이 성행한 것으로 생각되고 그 연대가 오래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고려시대 때에는 먹이 중국과의 교역품 중 하나였으며‚ 문헌인 <고려도경>을 보면 송연묵이 뛰어났다는 기록이 있어 우리나라에서 만든 먹이 훌륭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조선시대 때에는 질 나쁜 먹을 사용하였다는 기록이 <청장관전서‚ 한죽당섭필>의 (오징어먹)을 보면 알 수 있다. 먹의 종류로는 식물유를 태워 만든 그을음에다 기름을 섞어 유연묵(油煙墨)을 인쇄하는 것이 있으며 송유(松油)의 유연을 뽑아 만든 송연묵이 있고 동유(桐油)를 태워 만든 동화묵(桐花墨) 또는 동매(桐煤)가 있으며‚ 석유(石油) 또는 칠(漆)등을 써서 만든 것이 있는데 처음에는 칠유로 쓰였다가 석묵을 쓰게 되었고 송연과 동맥이 사용되었다. 제조방법은 용기에 기름을 채우고 골풀‚ 소나무 등을 점화시켜 태워서 생긴 그을음을 모아 고무질을 혼합하여 호장으로 만든 다음 조금만 틀에 붓는다. <참고문헌> 조선시대문방제구(국립중앙박물관‚ 통천문화사‚ 1992) 문방사우(이겸노‚ 대원사‚ 1993) 한국의 전통공예기술(정영호‚ 최몽룡‚ 천혜봉‚ 김동현외‚ 한국문화보호재단‚ 1997) <유사관련용어> 묵‚ 진현‚ 근묵자흑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