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모시두루마기

추천0 조회수 25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모시두루마기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0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두루마기는 남녀의 구별 없이 일반적으로 착용되었던 포(袍)의 하나이다. 두루마기는 창의와 비슷한 형태이나 창의와 같이 옆이 터져 있지 않고 두루 막혀 있다는 뜻에서 두루마기 혹은 두루막이라고 하였다. 한자로는 `주의(周衣)`라고 한다. 조선시대 상류층에서는 도포(道袍)의 밑받침옷으로 입었으며‚ 도포나 소매 넓은 포를 착용하지 못하는 상민들은 겉옷으로 착용하였다. 고종 때 검은색 주의와 답호를 관복으로 지정하면서 두루마기는 신분의 구분없이 착용되기 시작하였다. 고종 21년(1884) 갑신의복개혁 때 사복은 귀천을 막론하고 좁은 소매로 하고 넓은 소매인 도포·직령·창의·중의를 폐지하고 두루마기를 입게 했으며‚ 10년 뒤에는 사람들이 통상예복으로 착용하게 되었다. 1895년 을미개혁에서는 관민(官民)이 모두 흑색 두루마기를 착용하게 하였다. 이후 두루마기는 현재까지 포(袍)류 중의 대표적인 의복으로 남게 되었다. 두루마기는 소매가 좁고 활동에 편리한 것에서 창의와 비슷하나 양옆에 무를 달아 사방을 막은 것이 다르다. 깃은 직령교임식(直領交 式)이며 섶은 겹쳐지도록 하였다. 계절에 따라 면‚ 견‚ 모시 등을 사용하기도 하고 양복지인 모직 등을 사용하기도 한다. 겉옷으로 착용하므로 주로 짙은 색을 선호하는데 회색‚ 고동색‚ 검정색 등을 사용하며 겹이나 홑으로도 한다. 특별히 여름을 위해 모시바지저고리와 함께 모시 두루마기를 착용한다. 모시는 저마(苧麻)‚ 저포(苧布)라고도 하는데 베보다 곱고 시원한 느낌을 주며 습기의 흡수와 발산이 빨라 여름철 옷감으로 널리 쓰인다. <참고문헌> 한국복식문화사전(김영숙‚ 미술문화‚ 1998)‚ 한국복식문화사(유희경·김문자‚ 교문사‚ 1998)‚ 한국의복식(백영자‚ 경춘사‚ 1993)‚ 조선왕조 한국복식도감(上)(김영숙·손경자‚ 예경산업사‚ 1984)‚ 한국전통복식사연구(고복남‚ 일조각‚ 1986)‚ 한국복식문화Ⅱ(임명미‚ 경춘사‚ 1997)‚ "우리나라 포의 종류와 변천" 한국복식2천년(김미자‚ 국립민속박물관‚ 1995) <사진자료> 한국복식2천년(국립민속박물관‚ 1995‚ 255쪽)‚ 조 선왕조복식도감(上)(김영숙·손경자‚ 예경산업사‚ 1984 128∼129쪽)‚ 한국전통복식사연구(고복남‚ 일조각‚ 1986‚ 351∼356쪽) <기타참고> 두루마기 종류와 제작법 (한국전통복식사연구‚ 고복남‚ 일조각‚ 1986‚ 351∼356쪽) <유사·관련 용어> 주의‚ 주차의‚ 주막의‚ 직령포‚ 백저포‚ 후루막이‚ 두루막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