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정주석

추천0 조회수 44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정주석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0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주석은 제주도의 민가에서 발견되는 대문의 한 구성재(構成材)이다. 대문의 양측에 각각 하나씩 설치되며‚ 문의 역할을 하는 긴 나무 막대인 정낭을 걸칠 수 있는 구멍이 서너 개가 뚫려 있다. 정낭은 방목중인 가축이 집안으로 들어오는 것을 막기 위하여 설치되기 시작한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정낭을 걸쳐놓는 방식에 따라 각기 다른 의미를 가진다. 집주인이 가까운 이웃에 잠시 다니러 갔을 때는 하나 또는 두개만을 걸쳐놓는다. 또 장시간 집을 비울 때는 모두 걸쳐놓게 된다. 집을 방문하는 사람은 정낭이 걸쳐진 상태를 보고 주인이 있는가 없는가를 알 수 있다. 현재 제주도에 남아있는 정주석은 돌로 만들어진 것이나 원래는 나무로 만들었다고 한다. 정주목은 90×18×10cm 정도 크기의 나무기둥에 목봉(木棒)이 들어갈 수 있는 구멍을 서너 개 뚫은 것이다. 민간신앙에서는 이를 `오리직`이라 부르며‚ 무속신화에서는 `남선비의 큰아들의 넋`이라 부른다. 현재에도 대부분의 가정에서 제사를 지낸 후 잡식으로써 정주목에 대접하는 것을 볼 수 있다. 한라산 목장지대에서는 이와 비슷한 형태로서 `살채기`라는 것이 발견된다. 이것은 한라산에 방목하는 우마(牛馬)를 일정한 범위에 가두어 기르기 위해서 설치된 것으로‚ 우마의 통로를 가로막는 여닫이 문이다. <참고문헌> 조사연구보고서(調査硏究報告書)((제주도민속자연사박물관(濟州道民俗自然史博物館)‚ 1995) <사진자료> 조사연구보고서(調査硏究報告書)((제주도민속자연사박물관(濟州道民俗自然史博物館)‚ 1995) <유사·관련용어> 정주목‚ 정낭‚ 살채기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