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작두

추천0 조회수 34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작두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0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짚이나 풀 등을 써는 농기구. 작두는 퇴비장만이나 사료장만 등을 위하여 퇴비용 잡초와 사료용 곡초 등을 잘게 썰때 이용된다. 작두가 언제부터 농가에서 사용되어 왔는지는 알 수가 없다. 다만 4세기 중엽의 고구려 벽화에 발작두가 등장하는 것으로 보아 그 이전 시기부터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작두의 형태는 끝이 양쪽으로 갈라진 나무 토막의 작두바탕위에 날을 끼우기 위해 두 개의 쇠기둥을 세우고‚ 작두날과 쇠기둥을 연결하는 고두쇠로 이루어져 있다. 작두는 써는 방식에 따라 발작두와 손작두로 나뉜다. 발작두는 날 끝에 박힌 자루를 발로 디디는 힘을 이용하여 써는 것을 말한다. 발작두질은 두 사람이 필요하다. 한 사람은 발로 자루를 디디면서 동시에 칼에 맨 줄을 손으로 올렸다 놓았다 하며‚ 다른 한 사람은 옆에서 짚이나 풀 등을 날에 대어 준다. 한편 손작두는 한 사람이 사용하는데‚ 한 손으로 풀을 쥐고 날에 대어 손으로 내리찍듯이 써는 것을 말한다. 대부분의 전통 농기구가 인력을 동력원으로 하는 반면에 현대의 농기계는 천연자원을 동력으로 하여 작업능률을 극대화한다. 이러한 변화는 전통 농기구의 전승력을 단절하고 있는 주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작두도 예외가 아니어서 오늘날 주로 산간지역의 농가에서만 일부 사용하고 있다. <참고문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한국정신문화연구원) 韓國의 農器具(김광언‚ 문화공보부 문 화재관리국‚ 1969) 15세기 이후의 조선 농구에 관하여(홍희유‚ 문화유산‚ 1959) <사진자료> 작두(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권‚ 56쪽) <기타참고> 작두의 지역별 부분 명칭(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권‚ 57쪽) <유사·관련용어> 짝도‚ 짝두‚ 작뒤‚ 작도‚ 부질‚ 쟉도 등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