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철제은입사산조대금(鐵製銀入絲散調?琴)

추천0 조회수 158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철제은입사산조대금(鐵製銀入絲散調?琴)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0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은사(銀絲)로 장식하여 만든 산조대금이다. 철제은입사(鐵製銀入絲)란 철제 기물의 표면을 쪼아 은(銀)을 끼어 넣거나 덧씌어 무늬를 놓는것을 말한다. 대금은 연주 형식에 따라 두종류로 구분되는데 그것은 정악을 연주하는 정악대금과 속악을 연주하는 산조대금으로 나눈다. 위의 대금은 산조를 연주할수 있는 산조대금이다. 삼국사기에 따르면 대금은 신라에 기원을 두고 있다고 하나 제작자와 제작년대를 정확히 알수가 없을뿐만 아니라 그 기원설도 신빙성이 있는 것은 아니나 일반적으로 신라 삼죽(三竹)의 하나로 알려져 있다. 삼죽이라 하면 대금(?琴)‚ 중금(中琴)‚ 소금(小琴)을 가리킨다. 대금은 삼죽 중에서 제일 큰 악기이며 이 악기를 일명 "젓대" 또는 "저"라고도 부른다. 악기의 재료는 황죽(黃竹) 또는 쌍골죽(雙骨竹)을 사용하나 황죽보다 쌍죽골을 더 즐겨쓰는 이유는 살이 두껍고 단단하며 맑고 여무진 소리가 나기 때문이다. 대금의 지공(指孔)은 6구명 밖에 되지 않지만 저음(低音)‚ 평음(平音)‚ 역음(力音) 등을 통하여 넓은음‚ 부드러운 음‚ 청하한 음‚ 진동을 곁들인 장쾌한 음 등을 낼 수 있는 악기이다. 저음부 음색은 약간 어두운 편이며‚ 중음부는 맑고 아름답고‚ 고음부는 장쾌하다. 더욱이 고음부에 이르러 취구와 지공 사이에 마련되어 있는 청공(?孔)에 붙인 갈대 속 잎이 울리면 음색에도 변화를 주거니와 씩씩하고 속 시원한 음을 내기도 한다. 한마디로 대금의 음색은 변화가 다양한 악기이다. 대금은 합주악기로도 사용되지만 주로 독주 악기로 애용되고 있다. <참고문헌> 국악개요(장사훈‚ 정연사‚ 1961) 한국악기대관(장사훈‚ 문화공보부문화재관리국‚ 1969) 한국음악사전(대한민국 예술원‚ 1985)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민속대사전(민족문화사‚ 1991) 국악대사전(장사훈‚ 세광음악출판사‚ 1984) <사진자료> 한국악기대관(장사훈‚ 문화공보부 문화재관리국‚ 1969) 한국음악사전(대한민국 예술원‚ 1985)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민속대사전(민족문화사‚ 1991) 국악대사전(장사훈‚ 세광음악출판사‚ 1984) <유사용어> 젓대‚ 저‚ 철젓대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