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병(甁)

추천0 조회수 24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병(甁)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0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물을 붓거나 담는 그릇. 적은 양의 물을 나르거나 담아두기 위해 만들었으나 시대에 따라 형식적인 면이 많이 달라졌다. 흔히 내용물의 보존을 위해 마개나 뚜껑으로 덮게 되어 있다. 원시시대에는 병이라기 보다 그릇의 형태에 가까웠으나 시대가 갈수록 입이 좁은 병의 형태로 변하였고‚ 초기국가 형성 후엔 미적인 면이 강조되면서 병 모양과 주전자 등의 형태로 변하였다. 용도에 따라 납작한 편병‚ 둥글넓적한 자라병‚ 타원형의 길쭉한 오리병‚ 여러 각의 다각병 등이 있으며‚ 문양도 가지각색이다. 어떤 내용물을 주로 넣었느냐에 따라 술병·기름병·물병·촛병·화병 등으로 불려지며 문양은 식물의 잎이나 꽃을 붙여 무늬를 만든다던가 새·나비·문자 등을 양각하기도 하고 때로는 아무런 문양 없이 담백하게 겉면을 처리하기도 하였다. 물병을 만드는 데 쓰인 재료는 흙·나무·유리·뼈·가죽 등이 있고 토기문화의 발달로 청자와 백자로까지 만들어져 오늘날에도 그 아름다움을 최고로 꼽기도 한다. 서양의 경우에는 이미 BC 1500년 이집트에서 유리로 병을 만들기 시작하여 지금에 이른다. 병과 관련된 속담으로는 "병에 가득찬 물은 저어도 소리가 나지 않는다"는 말이 있는데‚ 깊은 지식이 있는 사람은 겸손하고 아는 체 하며 떠들고 다니지 않는다는 의미이다. 이 유물은 술병으로 백자병이다. 둥근 몸체에 긴 목이 달린 그릇으로 회백색을 띠고 있으며‚ 목은 구연이 외반된 형태로 입술이 단을 이루었고‚ 몸체는 구형(球形)이다. 굽이 달려 있으며‚ 굽바닥에는 모래받침이 있다. <참고문헌> 우리의 옛 도자기(윤용이‚ 대원사‚ 1999) Korea Artbook-백자‚ 분청사기Ⅰ·Ⅱ(김재열‚ 예경‚ 2000) 한국식생활사연구(이성우‚ 향문사‚ 1994) <사진자료> 백자(중앙일보사‚ 1990) 한국민속종합조사보고서-식생활용구편(문화공보부 문화재관리국‚ 1988) 그림과 명칭으로 보는 한국의 문화유산 2(시공테크‚ 2002‚ 13쪽·109쪽) 한양대학교 박물관 수장 유물선(한양대학교 박물관‚ 1995‚ 97쪽·100-103쪽) <유사/관련 용어> 감주병‚ 기름병‚ 다각병‚ 목주병‚ 물병‚ 약병‚ 오리병‚ 유리병‚ 자라병‚ 주전자‚ 화병‚ 편병‚ 식기‚ 음식기‚ 그릇‚ 백자병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