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조리

추천0 조회수 61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조리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0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쌀을 일어 돌을 골라내는 데 쓰는 주방기구. 물에 담근 쌀을 일면서 떠내는 도구이다. 그릇바닥에 처진 쌀에는 모래가 많이 섞여 있으므로 다른 그릇과 이남박을 번갈아 흔들면서 이남박 전에 걸려 처진 돌을 가려낸다. 즉 이남박이나 바가지 속의 물에 담긴 쌀을 조리 꽁무니로 한 방향으로 일면 물살의 힘으로 쌀알이 떠오르는데‚ 이 뜨는 쌀을 조리로 건져 소쿠리에 담고 무거운 돌은 밑으로 가라앉히는 것이다. 이 때 조리질하는 방향은 복이 집안으로 들어오라는 의미에서 집 안쪽을 향했다. 《임원경제지》에는 조리를 석미추(?米 )라 하여 조리의 형태에 대해 기록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조리가 이미 조선시대 이전부터 사용되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또한 《해동죽지》에 `복조리를 집집마다 사들여 붉은 실로 매어 벽에 걸어 둔다`고 하는 기록이 있는데‚ 이는 조리가 자기 집에 복이 들기를 기원하며 장식과 함께 주술적인 용도로 사용되기도 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의미가 생기게 된 원인은 조리가 쌀과 불순물을 분리하는 것처럼 필요한 것만 건져내는 기구이기 때문이다. 조리는 가는 대오리·버들가지·산죽·싸리 등의 재료로 국자처럼 모양을 내어 엮은 것이다. 그러므로 물이 잘 빠져 쌀을 이는데 적합하다. 또한 버들가지로 엮은 국수조리는 낟알을 건지는 조리보다 크기도 훨씬 크고 올도 성기게 만들었다. 조리는 곡식을 고르는 용구로서 본래 집집마다 두세개 씩은 갖추어 쓰던 부엌살림에 꼭 필요한 제구였으나‚ 지금은 돌을 일어낼 필요가 적어지고 또 플라스틱 바가지가 조리의 역할을 대신하면서 정월에 사 두는 복조리 정도로 사용되고 있다. 〈참고문헌〉 한국의 민속공예(맹인재‚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00) 우리의 부엌살림 (박록담·윤숙자‚ 삶과 꿈‚ 1997) 한국의 부엌(김광언‚ 대원사‚ 1997) 촌스러운 것에 대한 그리움(김종태‚ 새벽‚ 1997) 한국 초목공예에 관한 연구(이은주‚ 홍대 석사학위논문‚ 1983) 〈유사관련용어〉 조래미‚ 복조리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