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솜채

추천0 조회수 18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솜채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0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솜의 고치말기에 사용하는 도구. 솜은 고려 공민왕 12년(1363)에 문익점이 원(元)에서 도입하였고‚ 그의 장인인 정천익에 의해 물레가 일반화되면서 근래까지 농가에서 재배·수확된 면(綿)으로 여인들에 의해 무명이 제작되었으며‚ 오늘날에는 나주의 샛골무명짜기가 무형문화재로 지정되어 그 제직기술이 전승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풍토적으로 면화 재배에 적당한 지역으로 함경북도 약간의 지역을 제외한 각 지역에서 재배되고 있다. 방직과정을 살펴보면 씨앗기(목화송이에서 씨를 분리하여 솜을 채취하는 과정)‚ 솜타기(솜을 부풀어오르게 하는 과정)‚ 고치말기 작업(고치로 만드는 과정)‚ 실잣기 작업(물레로 고치로부터 실을 뽑는 과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솜채는 고치말기 과정에 사용되는 도구로 솜활(솜을 부풀게 하는 도구)로 부풀어진 솜을 돗자리나 말판 위에서 일정한 두께로 평행하게 만져 대나무나 수수깡으로 만든 솜채로 그 중앙부를 누르며 가볍게 3∼4회 손으로 비비는데 그러면 솜채는 좌회전되면서 원통형의 고치가 되고 속대를 빼낸 후 물레로 가져간다. <참고문헌 > 민족생활어사전(이훈종‚ 한길사‚ 1996) 한국민속대사전(민족문화사‚1991) 한국민속대관2(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82)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정문연‚ 1991) <유사·관련용어> 솜활‚ 면화‚ 무명‚ 면‚ 문익점‚ 정천익‚ 고치말기‚ 솜‚ 씨아‚ 물레‚ 속대‚ 고치 <사진자료> 민족생활어사전(이훈종‚ 한길사‚ 1996). p306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