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장고

추천0 조회수 70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장고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0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가운데가 잘록한 나무통의 양쪽에 가죽을 메워 만든 타악기. 춤이나 소리의 반주악기로 쓰인다. 왼쪽의 북편은 손이나 궁굴채로‚ 오른쪽의 채편은 열채로 쳐서 소리를 내며‚ 세요고(細腰鼓) 또는 장고(杖鼓)라고도 한다. 세요고란 양편 머리가 크고‚ 그 허리가 가늘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며‚ 장고란 오른편은 채[杖]를 들고 치고‚ 왼편으로는 북편을 치는 데서 온 명칭이다. 장구에 대한 가장 오래된 문헌으로는 고려 문종 30년에 장구를 가르치는 스승[杖鼓業師]이 있었다는 것이고‚ 또 고구려 고분 벽화와 신라의 범종에 새겨진 그림에서도 장구의 모습을 볼 수 있다. 장구의 몸통은 사기·기와·나무·양철 등으로 만드는데‚ 이 중에서 나무통이 가장 일반적이며‚ 그 중에서도 오동나무가 가장 좋은 것으로 꼽힌다. 요즘에 와서는 튼튼함과 제작상의 편리함을 들어 양철로 몸통을 만들기도 한다. 왼쪽 북편은 두텁고 큰 가죽을 쓰는데‚ 흰 말가죽이 제격이다. 오른쪽 채편은 얇고 작은 가죽을 사용하는데‚ 보통 말가죽을 쓴다. 그래서 북편에서는 두터운 저음이 나고‚ 채편에서는 얇은 고음이 난다. 장구는 리듬의 구실을 도맡아 보는 중요한 악기로 아악을 비롯하여 속악‚ 극악‚ 농악‚ 민요‚ 농악에 이르기까지 널리 쓰인다. 장구의 양편을 동시에 치는 것을 쌍(雙)이라 하고‚ 열채로 채편만 치는 것을 편(鞭)‚ 왼손이나 궁굴채로 북편만 치는 것을 고(鼓)‚ 그리고 열채로 잠시 치고 굴리는 소리를 내는 것을 요(搖)라고 한다. <참고문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악기대관(장사훈‚ 문화재관리국‚ 1969) 민요와 향토악기(장사훈‚ 상문당‚ 1948) 국악개요(장사훈‚ 정연사‚ 1961) 한국음악사전(대한민국예술원‚ 1985) 국악대사전(장사훈‚ 세광음악출판사‚ 1984) <사진자료> 장구(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9‚ 성경린‚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31쪽) <기타참고> 장구 연주법(한국악기대관‚ 장사훈‚ 문화재관리국‚ 128∼130쪽) <유사·관련용어> 장고‚ 세요고‚ 요고‚ 갈고‚ 농악‚ 사물놀이‚ 열채‚ 궁굴채‚ 채편‚ 북편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