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은침통(銀針筒)

추천0 조회수 166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은침통(銀針筒)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0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사람이나 소‚ 말의 혈을 찔러서 질병을 고치는 의료기구를 침(鍼)이라 하며‚ 일반 바느질용 침(針)과 구분한다. 그러나 일반인들은 한자를 혼용하여 써왔다. 침을 넣어 두는 작은 통. 일정한 모양과 크기가 없이 사용인의 취향과 휴대에 편리한 규모와 형태로 만들었으며‚ 원통형과 4각‚ 6각의 것이 가장 많다. 삼국시대나 고려시대의 금‚ 은‚ 청동제 침통이 일부 전해지고 있는데 대개 원통형이다. 그 외에도 은‚ 상아‚ 대모‚ 호박‚ 백동‚ 대나무‚ 대추나무‚ 오동나무‚ 단풍나무가 널리 이용되었다. 제일 많이 쓰인 것은 작은 대나무 토막을 다듬어 사용했으며 드믈게 가죽‚ 헝겊에 옻칠한 것도 전해진다. 내부는 종류에 따라 침을 구분하여 넣도록 작은 홈이나 칸막이를 해 놓았다. 한편 습기가 차서 침이 녹 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몸통에 공기 구멍을 뚫어 놓았는데‚ 모양을 멋지게 하고 의미를 부여하기 위해 삼태성과 북두칠성을 조각하였다. 그 외에도 십장생‚ 수복강녕‚ 8괘‚ 소유자의 이름 등이 조각되는 예가 많다. 뚜껑은 같은 재료로 만드는 경우가 많으며‚ 가죽이나 헝겊으로 대용하기도 하고‚ 종종 암꿩인 까투리의 깃털을 사용하기도 한다. 이는 까투리가 모이를 쪼아 먹을 때 매우 신중하게 살핀 뒤 확신이 가야만 먹는 것을 보고‚ 침을 놓기 위해 뚜껑을 열면서‚ 이처럼 마음을 가다듬고 신중에 신중을 기하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이것은 은으로 만든 6각형 침통과 침이다. <참고문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한국정신문화연구원) 민간의약(김쾌정 외‚ 국립문화재연구소‚ 1996) 한국의학사(김두종‚ 1996) <사진자료> 고의약기도록(한국의약박물관‚ 1974) 민간의약(김쾌정 외‚ 국립문화재연구소‚ 1996)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한국정신문화연구원) <유사·관련용어> 침주머니‚ 침랑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