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고현금

추천1 조회수 97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고현금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0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신라 삼현(三絃)의 하나로 가야고와 함께 우리나라 대표적인 현악기로써 향악기(鄕樂器)로 분류된다. 이 악기는 팔음(八音) 즉 금(金)‚ 석(石)‚ 사(絲)‚ 죽(竹)‚ 포(匏)‚ 토(土)‚ 혁(革)‚ 목(木)의 악기중 사부(絲部)에 속하는 현명악기(絃鳴樂器)로써 일명 현금(?琴)이라고도 부른다. 거문고가 문헌에 최초로 등장하기는 <삼국사기>의 악지(樂志)에 고구려의 제2상(第二相) 왕산악 (?山岳)이 중국 진(晉)의 칠현금을 보고 거문고를 만들었다는 기록이다. 왕산악이 거문고를 만들어 새로 백여곡을 작곡하여 거문고를 연주할때 검은 학이 날아와 춤을 추었다고 해서 한때는 이악기를 현학금(?鶴琴)이라 했으나 "鶴"자를 빼고 현금이라 했다고 전한다. 이후 거문고는 신라 통일후 대표적인 향악기인 삼현삼죽(三絃三竹) 의 하나에 끼게 되었다. 거문고는 오동나무와 밤나무를 붙여 만든 장방형의 통 위에 명주실을 꼬아 만든 6줄을 걸치고 술대라는 나무 막대기로 줄을 치고 뜯어서 소리낸다. 악학궤범 (樂學軌範)에 의하면 거문고는 앞판은 오동나무를 뒷판은 밤나무를 그리고 괘는 회양목(檜木)을 쓴다고 한다. 통의 머리쪽은 용두(龍頭)‚ 꼬리쪽은 봉미(鳳尾)‚ 용두의 웃면은 좌단(坐團)이라고 한다. 용두의 좌단과 통 사이에는 현침(絃枕)이 세로로 질러있고‚ 통 위에는 단단한 회양목으로 만든 16개의 괘가 세워져 있다. 통 위에는 6개의 줄이 걸쳐 있는데 연주자와 가까운 쪽으로 부터 문현(文絃)‚ 유현(遊絃)‚ 대현(?絃)‚ 괘상청(木果上?)‚ 괘하청(木果下?‚ 木果下?)‚ 무현 (武絃)으로 부른다. 음은 대현이 가장 굵고 문현 괘상청 순으로 점점 가늘어 진다. 한편 가야고가 여성적이라면 거문고는 남성적이며 그 음이 다양하여 특히 저음 (低音)인 대현(?絃)을 울릴때는 마음이 차분히 가라 앉고‚ 유현(遊絃) 소리는 이와 반대로 무언지 속삭이고 호소하는 듯 한 음을 낸다. 거문고는 관현합주에 반드시 편성되며 독주악기로도 널리 사용된다. <참고문헌> 국악개요(장사훈‚ 정연사 1961) 한국악기대관(장사훈‚ 문화공보부문화재관리국 1969) 한국음악사전(대한민국 예술원 1985) 한국민속대사전(민족문화사 1991) 국악대사전 (장사훈‚ 세광음악출판사 1984) <사진자료> 한국악기대관(장사훈‚ 문화공보부 문화재관리국 1969) 한국음악사전(대한민국 예술원 1985) <유사용어> 현금‚ 현학금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