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추천0 조회수 36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0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물건을 싸거나 덮기 위해 네모지게 만든 것. 보자기는 물건을 싸거나 덮기 위하여 네모지게 만든 것으로 실용성과 장식성을 겸하고 있는데‚ 한자로 보(褓)‚ 보자(褓子)‚ 복(福) 등으로 불리어 왔고 각 지방의 방언 명칭까지 더하면 매우 다양하다. 전통보자기는 사용 계층‚ 구조‚ 문양의 유무‚ 용도‚ 색상‚ 문양 종류‚ 재료 등을 기준으로 분류할 수 있다. 사용 계층에 따라 궁중에서 사용된 궁보(宮褓)와 민간에서 사용한 민보(民褓)로 크게 나눈다. 직물의 질과 색상 및 꾸밈새에서 궁보는 귀족 취향으로 화사하며 세련되었고‚ 민보는 서민 취향으로 원만하고 투박하나 보자기 본래의 기능에서는 같다. 구조적 특징에서 보면 안감을 대지 않은 홑보‚ 안감과 겉감 두 겹으로 된 겹보‚ 깨지거나 흠가기 쉬운 물건을 보관하기 위해 솜을 두고 안감을 덧댄 솜보‚ 직선이나 기하학적 패턴으로 누벼서 만든 누비보‚ 천조각을 이어서 만든 조각보‚ 바탕 천에 식지(기름종이)를 대거나 식지만으로 만든 식지보 등으로 나뉜다. 문양의 유무에 따라 크게 무문보(無紋褓)와 유문보(有紋褓)로 나뉘고‚ 유문보는 다시 문양을 만드는 방법에 따라 수로 문양을 놓은 수보(繡褓)‚ 문양을 두어 짠 천으로 만든 직문보(織紋褓)‚ 천 바탕에 금박으로 문양을 찍은 금박보(金箔褓) 등이 있다. 용도별로 구분하면 상용(常用)보‚ 혼례용보‚ 종교의식용보 및 기타 특수용보로 나뉘며 구체적으로 덮개보‚ 이불보‚ 밥상보‚ 사주보(四柱褓)‚ 예단보(禮單褓) 등 다양하다. 색상별로는 청홍(靑紅)보‚ 소색(素色)보‚ 황색(黃色)보 등이 있고 천의 문양 종류에 따라 용문(龍紋)보‚ 화목문(花木紋)보‚ 문자문(文字紋)보 등으로 나누고 재료별로는 명주보‚ 비단보‚ 면직보‚ 모시보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또 폭수에 따라 1폭보‚ 2폭보‚ 3폭보 등으로 분류하는데 한 폭의 넓이는 명주의 폭을 기준으로 한 변의 길이가 35cm 내외이다. 보자기의 폭수는 싸 두는 물건의 크기에 따라 1폭에서 9폭까지 있다. 보자기는 기능성과 미적 효과라는 두 가지 면에서 살펴볼 수 있다. 기능성 면에서 보면 보자기는 물건을 싸서 보관하거나 운반하는 데 가장 간편한 생활 용구이면서 아울러 예절과 격식을 갖추는 의례용으로 사용되었다. 미적인 면에서 보면 보자기는 만든 사람이 전문 공예가가 아니라 생활에서 필요한 사람이 직접 만들었으므로 양식화에서 벗어나 신선하고도 독창적인 이미지가 강했다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우리규방문화(허동화‚ 현암사‚ 1997) 여성의 손끝으로 표현된 우리의 멋(국립민속박물관‚ 1999) 자수장(국립문화재연구소‚ 1999) <사진자료> 우리규방문화(허동화‚ 현암사‚ 1997‚ 254-268쪽) 자수장 (국립문화재연구소‚ 1999‚ 40쪽) <유사관련용어> 보자기‚ 궁보‚ 민보‚ 홑보‚ 겹보‚ 솜보‚ 누비보‚ 조각보‚ 식지보‚ 수보‚ 금박보‚ 당채보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