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풍차(風遮)

추천0 조회수 57 다운로드 수 3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풍차(風遮)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0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방한용으로 착용한 모자의 하나. 풍차(風遮)는 조선시대 추위를 막기 위해 머리에 썼던 난모(煖帽)의 하나이다. 풍차는 조선시대 초기에는 양반계급에서 주로 썼으나 점차 평민화 되었으며 여자도 방한용으로 착용하였다. 《오주연문장전산고 五?衍文長箋散稿》에 "우리나라는 귀천·문무 따질 것 없이 목을 두른 호이엄(胡耳俺) 풍차제도가 있었는데 털로 만들기도 하고 흑단(黑緞)이나 갈포(褐布)를 겹으로 하여 만들기도 하였다. 조정(朝廷)에 드나드는 연로한 사인(士人)들은 궐내에서 퇴조(退朝)하게 되면 소풍차(小風遮)를 썼는데 이를 항풍차(項風遮) 또는 삼산건(三山巾)이라고도 하였다. 문무백관의 상복에 착용하는 사모(紗帽)에 난모(煖帽)로는 이엄(耳掩)을 썼으나 헌종 때는 이엄 대신에 소풍차와 삼산건을 쓰게 하여 당상관은 초피단(貂皮 )을 두르고 당하관은 흑피단(黑皮 )을 두르게 하였다"고 하였다. 풍차는 국말까지 이용되었으나 개화기 시대에는 풍차보다 남바위를 난모로 더 많이 사용하였다. 풍차는 남바위와 비슷한 형태로 꼭대기에는 둥글게 공간을 두었으며 앞은 이마까지 오고 옆은 귀를 덮게 되어 있으며 뒤로 보면 삼각형이다. 귀와 뺨‚ 턱을 가리는 볼끼를 달았는데‚ 이것은 완전하게 방한을 해주는 것으로서‚ 필요 없을 때는 뒤로 접어서 끈을 매어두게 되어 있다. 겉은 자주색·남색·검정색의 비단으로 하고 안은 남색·초록색의 견을 넣어 만들었으며‚ 가장자리는 검정색이나 남색의 토끼나 여우의 모피를 둘렀다. 풍차의 재료는 모(毛)·흑단(黑緞)·겹의( 衣)·갈포(褐布) 등을 사용하였으며‚ 남녀노소 공용이었다. 남자용은 이 위에 관(冠)이나 갓[笠]을 쓰며 여자용은 앞·뒤에 술 장식을 하고 산호‚ 비취 등으로 장식하였다. <참고문헌> 한국의 관모(영남대학교 신라가야 문화연구소‚ 1972) 한국의복식(백영자‚ 경춘사‚ 1996) 한국복식문화사(유희경·김문자‚ 교문사‚ 1998) <사진자료> 풍차(한국복식사‚ 김용서·안명숙‚ 예학사‚ 1998‚ 146쪽‚ 180쪽) 풍차(한국복식문화사‚ 유희경·김문자‚ 교문사‚ 1998‚ 264쪽) <유사·관련 용어> 소풍차(小風遮)‚ 항풍차(項風遮)‚ 삼산건(三山巾)‚ 난모(煖帽)‚ 방한모‚ 이엄(耳掩)‚ 남바위.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