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등잔받침

추천0 조회수 20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등잔받침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0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등잔을 받치는 용구. 등잔은 기름을 담아 심지를 넣어 불을 켜는 그릇으로 등경(燈?)에 등잔을 올려 놓기 위해서는 등잔받침이 필요하다. 등경은 하반에 등가(燈架)를 세우고 등잔받침을 걸어둔 형태인데‚ 하반은 재떨이로도 쓰였다. 대개 등잔받침은 널찍한 하반에 세워진 등가의 뒷부분에 패인 서너 개의 홈에 걸게끔 되어 있는데‚ 이 홈(거치형 단급)에 따라 높이를 조절할 수 있었다. 또 등잔받침 아래에는 등잔의 기름이 흘러 넘쳤을 경우를 대비하여 쇠뿔형·유방형·타구형 기름받이를 달아 놓기도 하였다. 등잔받침이 언제부터 사용되었는지는 분명치 않지만 삼국시대의 고분에서 각종 형태의 등잔이 발굴되는 것으로 미루어 등잔을 받치기 위한 기구들도 매우 오래 전부터 사용됐을 것으로 추측된다. 그러나 20세기 들어와 전기가 본격적으로 보급되자 백열등과 형광등에 밀려 등잔이 급격히 사라지면서 등경과 등잔받침·기름받이 등도 이제는 자취를 감추었다. 참고로 등잔받침·등잔걸이·등가·등경걸이 등 관련 용어가 문헌에 따라 다소 혼란스럽게 쓰여 주의가 요구된다. 이 유물은 원형으로 가장자리에 턱이 있으며‚ 전체적으로 연한 황색과 녹색을 띠고 있다. 표면에 만월(滿月)과 기러기 4마리가 시문되어 있고‚ 바닥에 모래받침 흔적이 있다. <참고문헌> 우리의 부엌살림(윤숙자·박록담‚ 삶과꿈‚ 1998‚ p.264) ; 우리나라 전통 등기구의 조형성에 관한 연구(정승은‚ 상명여대 석사논문‚ 1993) ; 조선조 등기구에 관한 연구(이태숙‚ 숙명여대 석사논문‚ 1987‚ pp.13∼15) ; 도제 등기구의 조형성에 관한 연구(강주현‚ 경희대 석사논문‚ 1996‚ p.23) <사진자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7 - 등잔(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1‚ p.459) 한양대학교 박물관 수장 유물선(한양대학교 박물관‚ 1995‚ pp.449∼453) <기타참고> 불의 민속(국립민속박물관‚ 1996) <유사/관련 용어> 기러기‚ 기름받이‚ 등‚ 등가‚ 등경‚ 등경걸이‚ 등기‚ 등기구‚ 등잔‚ 등잔걸이‚ 등잔받침‚ 등촉구‚ 만월‚ 조명‚ 조명구‚ 조명기구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