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망건통

추천0 조회수 117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망건통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0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망건을 넣어 보관하는 통. 망건통은 성인남자들이 잘 때 망건을 벗어놓고 아침 세수 후에 동여매기 전까지 망건을 보관하는 상자로 망건갑‚ 망건집이라고도 한다. 망건은 머리카락이 흩어지지 않도록 머리에 두르는 건(巾)으로 말총이나 인모(人毛)로 바닥을 짜서 만든다. 상투 있는 사람이 사용하는데‚ 관례를 하여 상투를 한 후에는 누구나 망건을 쓰게 되므로 어른의 상징이기도 하였다. 망건을 쓴 위에 갓 등의 정식 관을 쓴다. 망건은 당(망건의 윗부분)·편자(아랫부분)·앞·뒤의 네 부분으로 구성되어지며 앞은 높고 옆쪽은 조금 낮다. 당은 망건의 말총을 촘촘히 세워 고를 맺어 두른 것으로 고에 구멍을 내어 윗당줄을 꿰도록 만들었다. 편자는 말총으로 좁고 두껍게 짜는데‚ 망건을 졸라매는데 쓰는 띠이다. 여기에 부수적으로 관자(貫子; 권자 圈子)‚ 풍잠(風簪)‚ 동곳이 포함되었다. 관자‚ 풍잠 등의 재료에 따라신분과 계급을 나타내었다. 망건통의 재료는 주로 오동나무나 대나무가 사용되었고 종이‚ 백동‚ 구리도 간혹 사용되었다. 형태로는 원통·사각·육각·팔각형 등이 있다. 망건통은 단단한 나무를 여러가지 모양으로 다듬어서 속을 파내고 거기에 밑을 달고 뚜껑을 해서 그냥 끼우거나 아니면 작은 경첩이나 고리를 달아 작은 상자 형태를 이루고 있다. 겉에는 선쇠무늬‚ 완자무늬‚ 왈자무늬나 여러가지 기하학적인 연속무늬를 조각하였다. <참고문헌> 한국복식사 연구(유희경‚ 이화여자대학 출판부‚ 1975) 한국복식2천년(국립민속박물관‚ 1995) 한국복식문화사전(김영숙‚ 미술문화‚ 1998) 예용해전집 제2권 민중의 유산(예용해‚ 대원사‚ 1997) 조선시대 의복·관모함에 관한 연구(김학태‚ 청주대 대학원 석사논문‚ 1989)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