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남사당가면(男寺堂假面)-옴탈

추천0 조회수 178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남사당가면(男寺堂假面)-옴탈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0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이 남사당가면은 남사당놀이 덧뵈기(탈놀이)에 등장하는 옴탈이다. 탈은 사람이나 동물의 얼굴 모양으로 만든다. 그리고 이것을 얼굴에 써서 분장(扮裝)에 사용하는데 한자로는 면(面)‚ 면구(面具)‚ 가면(假面)‚ 대면(代面)‚ 가두(假頭)‚ 가수(假首) 등이라 하였다. 우리말로는 광대‚ 초라니‚ 탈‚ 탈박‚ 탈바가지 등이라 하였다. 이 남사당가면 옴탈은 종이탈이다. 얼굴 바탕은 가지빛이며 얼굴 전면에 옴이 돋아 있다. 눈썹과 눈꼬리가 좌우로 올라갔으며 코밑에는 검은 수염이 있다. 입은 좌우로 올라간 형태로 약간 벌리고 있다. 머리에는 송낙을 썼다. 그리고 탈보는 검은색이다. 남사당가면 옴탈은 옴중이 쓰는데 옴중은 검은색 바지저고리에 검은색 두루마기를 입는다. 그리고 버선과 짚신을 신는다. 머리에는 말총 벙거지를 쓰고 옴탈잡이 마당에 등장한다. 이 마당에서 꺽쇠와 옴중은 옴탈의 옴에 대해서 대화를 주고받는다. 그러다가 결국 옴탈이 도망가고 꺽쇠가 퇴장하는 것으로 장을 마감한다. 남사당가면은 60여년 전까지만 해도 나무탈을 썼다고 하나 현재는 바가지 위에 종이 찐 것을 붙여서 만든다. 남사당놀이는 풍물(풍물놀이)-버나(대접·버나 등 돌리기)-살판(땅재주)-어름(줄타기)-덧뵈기(탈놀이)-덜미(꼭두각시 놀음) 등 여섯 가지 종류의 놀이로 구성되어 있다. 그 가운데 남사당 덧뵈기는 다른 지역의 탈놀이에 비하여 의식이나 행사에 관계없이 그때그때 노는 지역사람들의 흥취에 부합하였다. 춤보다는 놀이꾼의 재담과 연기에 더 큰 비중을 둔 풍자극으로 마당씻이‚ 옴탈잡이‚ 샌님잡이‚ 먹중잡이의 네 마당으로 이루어졌다. 남사당 덧뵈기는 떠돌이패의 놀이라는 점에서 농촌 두레패 탈놀이의 다소 폐쇄적인 성격을 넘어 도시적‚ 세속적 생활공간 속에 축제의 기회를 마련할 수 있었다 <참고문헌> 남사당놀이(글 심우성‚ 사진 송봉화‚ 화산문화‚ 2000)‚ 남사당패연구(심우성‚ 동문선‚ 1994)‚ 한국의 탈(국립민속박물관‚ 1982)‚ 한국민족대백과사전-탈‚ 탈놀이-(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1) <사진자료> 한국의 탈(국립민속박물관‚ 1982) <유사관련용어> 탈‚ 면‚ 면구‚ 가면‚ 대면‚ 가두‚ 가수‚ 광대‚ 초라니‚ 탈박‚ 탈바가지‚ 옴탈‚ 종이탈‚ 옴중‚ 꺽쇠‚ 나무탈‚ 풍물(풍물놀이)‚ 버나(대접·버나 등 돌리기)‚ 살판(땅재주)‚ 어름(줄타기)‚ 덜미(꼭두각시 놀음)‚ 마당씻이‚ 옴탈잡이‚ 샌님잡이‚ 먹중잡이‚ 떠덜이패‚ 마당놀이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