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젓가락

추천0 조회수 32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젓가락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0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음식이나 그 밖의 다른 물건을 집는 기구. 주로 식사도구로 쓰인다. 젓가락은 가늘고 길이가 같은 두 개의 쇠붙이나 나무 따위로 짤막하게 만들어진 것이며‚ 숟가락과 더불어 한 벌을 이루어 수저라고도 한다. 젓가락은 주로 동양에서 사용된다. 중국 전국시대의 기록에 보이는 저(箸)는 대나무로 만든 젓가락을 가리킨다. 우리나라에서는 공주의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것이 가장 오래된 것으로서 청동기 시대부터 사용되던 숟가락보다는 그 사용 시기가 더 늦다고 보여진다. 그러므로 수저와 함께 쓰이게 된 시기도 삼국시대로 추정된다. 젓가락은 금속이나 뿔·나무 등의 단단한 재료들로 만든다. 대체로 숟가락과 같은 재료로 한 벌을 만든다. 한편 젓가락은 사용하는 사람의 신분에 따라 그 형태·재료가 달랐는데 궁중에서 사용되는 것들은 값비싼 금·은·칠보 등으로 만들어진 것이었고 민간에서는 대부분 나무나 놋쇠로 만든 젓가락을 사용했다. 나라마다 젓가락이 식사에 사용되는 방식도 각기 틀리나 우리나라는 밥과 국물 있는 음식은 숟가락으로‚ 나머지 반찬은 젓가락으로 집어먹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이 유물의 끝부분은 원통형이며 중간 부분부터 손잡이 부분은 사각기둥형이다. 자루 쪽에 ‘졍월’을 점열로 새겼다. <참고문헌> 유기(홍정실‚ 대원사‚ 1989) 한국의 부엌(김광언‚ 대원사‚ 1997) <사진자료> 상기 참고문헌에 사진자료 포함 <유사/관련 용어> 무령왕릉‚ 수저‚ 숟가락‚ 시저‚ 식사도구‚ 나무젓가락‚ 칠보젓가락‚ 대나무젓가락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