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필묵통(筆墨筒)

추천0 조회수 125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필묵통(筆墨筒)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0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붓과 먹물을 휴대하고 다닐 수 있도록 만든 용기. 먹물을 담아놓는 먹통은 벼루를 만들어 사용하기 이전부터 있었다. 그것은 벽돌이나 기와를 벼루 대용으로 많이 사용했기 때문인데 여기에 먹을 갈아 그 즙을 먹통에 담아두었다. 그렇지만 먹은 사용할 때 갈아서 곧 쓰는 것이 좋고‚ 오래 두면 안 되었기 때문에 사랑방에 먹통을 꼭 구비하지는 않았던 것 같다. 단지 하급관리나 목수 등 현장에서 바로 기록을 해야 할 필요가 있는 사람들은 벼루에 먹을 갈아서 쓸 시간이 없으므로 먹통에 먹물을 담아두고 이를 국자로 퍼서 사용했다. 그리고 여기에서 한 발 더 나아가 작은 먹통과 붓을 함께 휴대하도록 하여 그 편리함을 극대화 한 것이다. 붓통과 먹통을 `ㄱ`자형 혹은 `一`자형으로 붙여놓거나‚ 끈으로 연결해 놓은 것으로 행연(行硯)이라고도 한다. 그리고 붓통은 붓갑이라고도 하며‚ 먹통은 묵호(墨壺)라고도 한다. 붓통과 먹통에는 각각 뚜껑이 달려 있는데 먹통 안에는 작은 막이 있어 먹물이 위로 튀는 것을 방지하였다. 붓통과 먹통을 끈으로 연결할 때는 각각에 고리를 달았는데‚ 먹통의 경우 뚜껑에 달기도 했지만 양옆에 먹통의 높이 만한 관을 붙여 끈을 연결하였다. <참고문헌> 조선시대 문방제구(국립중앙박물관‚ 1992) 한국의 유기(광주민속박물관‚ 1991) 건축장인의 땀과 꿈(국립민속박물관‚ 1999) <사진자료> 휴대용 묵호와 붓(조선시대 문방제구‚ 40쪽) 휴대용 묵호(한국의 유기‚ 73쪽) 백동지시먹통(건축장인의 땀과 꿈‚ 55쪽) <기타참조> 백자 묵호(조선시대 문방제구‚ 106-110쪽) <유사 관련 용어> 휴대용 먹통‚ 휴대용 묵호‚ 휴대용 필통‚ 행연(行硯)‚ 먹물‚ 먹물통‚ 먹통‚ 묵통‚ 묵호(墨壺)‚ 붓‚ 붓갑‚ 붓통‚ 문방(文房)‚ 문방제구(文房諸具)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