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구덕

추천0 조회수 51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구덕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0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물건을 나르거나 보관하는 대나무 바구니. 주로 가는 대오리를 엮어 만들었으며 용도에 따라 그 크기가 다양하다. 특히 제주도 지방에서 많이 쓰였는데 대나무로 생활용품을 만들어 쓰기 시작하면서 구덕도 제작되어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 구덕은 대체로 모서리가 완만한 육면체 모양에 위쪽이 터진 형태를 하고 있으며 바닥은 사각형이다. 아가리 주위에는 넓은 테가 둘려 있다. 그 밑은 넓적하게 쪼갠 대나무를 엮어 받쳐 등에 지기 편하게 하였다. 구덕은 다양한 용도로 사용하였는데 그중 물구덕에는 물을 길어올 때 사용하는 그릇인 물허벅을 담아 물배라는 밧줄로 연결하여 등에 지구 운반하는 용도로 사용되었다. 물구덕을 등에 질 때에는 무지개라는 이름의 등받이를 어깨에 걸쳐 물허벅에서 튀어나온 물이 옷에 스며들지 않도록 하였다. 물구덕 이외에도 제물을 지고 신당에 갈 때 주로 쓰이는 고는대구덕‚ 해소나 채소를 담아 운반하는 데 쓰이는 키구덕(또는 산기구덕)‚ 아기를 눕혀 두고 재우거나 지고 다니는 애기구덕‚ 빨래를 담는 서답구덕‚ 바다에서 잡은 물고기를 담는 고기구덕‚ 떡을 담는 떡구덕 등 용도에 따라 다양한 명칭의 구덕들이 사용되었다. 구덕은 제주지방에서 식생활 용구로서는 물론 일상생활 전체에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었다. 그 용도에 따라 크기와 형태도 각각 다르게 제작되었고 물구덕처럼 끈을 달아 어깨에 매어 운반하기 쉽게 만들어 사용하기도 하였다. <참고문헌> 한국민속종합조사보고서5-제주도편(문화공보부 문화재관리국‚ 1977) 제주의 문화재(제주도‚ 1982) 한국민속종합조사보고서19-식생활용구편(문화공보부 문화재관리국‚ 1988) 제주의 식생활용구(제주대학교 박물관‚ 1989) 제주의 민속2-생업기술·공예기술(제주도‚ 1993) 우리의 부엌살림(박록담·윤숙자‚ 삶과 꿈‚ 1997) <사진자료> 한국민속종합조사보고서19-식생활용구편-(문화공보부 문화재관리국‚ 1988) <유사·관련 용어> 구덕‚ 물구덕‚ 고는대구덕‚ 애기구덕‚ 물구덕‚ 서답구덕‚ 고기구덕‚ 허벅‚ 물허벅‚ 대바지‚ 대배기‚ 애기 대바지‚ 무지개‚ 물배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