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죽제장침(竹製長枕)

추천0 조회수 86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죽제장침(竹製長枕)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0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휴식용 대나무 베개. 보통 대나무나 나무로 만든 베개를 목침으로 통칭(通稱)하는데‚ 이것은 낮잠[午睡]를 즐기거나 잠시 누울 때 머리를 편하게 받치는 데 사용한다. 기원으로는 백제 시대 무령왕비(武寧??) 관에서 출토된 목침이 가장 오래된 것이다. 목침은 특히 여름철에 시원하며‚ 단단한 목질(木質)은 뒷머리 부분에 지압효과를 주어 노인들이 즐겨 사용하기도 하였다. 보통 목침은 장방형(長方形)으로 작고 맵시 있게 만들어졌으며 옻칠을 하거나 황경피(黃栢의 껍질)를 입히거나 혹은 낙동법(烙桐法)으로 침향색을 낸 것이 좋다. 그중 작은 궤(櫃) 모양으로 서랍이 달린 목침을 퇴침(退枕)이라 하였으며 판재(板材)로 짜서 복판에 풍혈(風穴)이 뚫린 것을 풍침(風枕)‚ 통영의 나전침(螺鈿枕)으로는 두 귀가 두둑한 이른바 침각(枕角)이 유명하였다. 이밖에 두꺼운 통목을 그대로 사용하거나 네 귀를 판재로 짜서 맞춘 것‚ 무늬를 투각한 것‚ 자개로 시문(施紋)한 것‚ 대나무로 짠 것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목침의 재료는 주로 감나무‚ 괴목‚ 소나무‚ 오동나무 등으로 나무결을 최대한 살려 자연미를 즐겼고‚ 형태는 원형‚ 방형(方形)‚ 장방형(長方形)‚ 반월형(半月形)‚ 조립형‚ 동물형이 있으나 장방형이 보편적으로 사용되었다. 장방형‚ 방형은 중앙에 능형(菱形)‚ 원형의 공간을 뚫어 시원한 느낌을 주었으며‚ 동물형은 호형(虎形)이 많고‚ 문양은 장식적인 것보다 자연문‚ 기하문 등을 많이 사용하였다. 이 유물은 양 측면에 만자문(卍字紋)을 넣어 아름답게 꾸민 것이다. <참고문헌> 한국민속대사전(동편찬위원회‚ 민족문화사‚ 1991) 한국의 목공예(박영규‚ 범우사‚ 1997) 한국의 목공예(이종석‚ 열화당‚ 1988) <사진자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8(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1‚ 60쪽)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