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삼척김공사적비문

추천0 조회수 23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삼척김공사적비문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0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개요> 비문(碑文) : 고인의 사적을 칭송하고 이를 후세에 전하기 위해 지은 글. 비석에 새긴 글 *비석 碑石 고인(故人)의 사적(事蹟)을 칭송하고 이를 후세에 전하기 위하여 문장을 새겨 넣은 돌. 비(碑)·빗돌·석비(石碑) 등 여러 말이 있으며‚ 거기에 새겨 넣은 글은 금석문(金石文)이라 하여 귀중한 사료(史料)가 된다. 비석의 시초는 옛날 중국에서 묘문(廟門) 안에 세워 제례(祭禮) 때 희생으로 바칠 동물을 매어 두던 돌말뚝에서 비롯되었다 하며‚ 또 장례식 때 귀인(貴人)의 관을 매달아 광내(壙內)에 공손히 내려 놓기 위하여 묘광(墓壙) 사방에 세우던 돌을 말하기도 한다. 그 돌을 다듬고 비면(碑面)에 공덕을 기입하여 묘소에 세우게 된 것은 훨씬 후세의 일이며‚ 당시는 비석이라 하지 않고 각석(刻石)이라 하다가 이것을 비석으로 부르게 된 것은 전한(前漢) 말기나 후한 초의 일이다. 진대(秦代) 이전의 각석으로는 우(禹)나라가 치수공사(治水工事) 때 세웠다고 하는 구루비(뻗쬐碑:河南省 衡山)‚주(周)나라 목왕(穆?)이 "길일계사(吉日癸巳)"의 4자를 새긴 단산각석(壇山刻石) 등이 있으나 진위(眞僞)는 확실치 않다. 진나라 때는 시황(?皇)이 세운 추역산(鄒忌山)·태산(泰山)의 각석 등이있고‚ 한(漢)나라 이후에는 유서(儒書)나 불경(佛經)을 돌에 새긴 석경(石經)도 유행하였다. 한국은 비석이 언제부터 세워졌는지 확실치 않으나 고구려 때 광개토왕비(廣開土?碑)가 세워진 것으로 보아 그 이전부터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진흥왕순수비(眞興?巡狩碑)‚ 창녕(昌寧)의 척경비(拓境碑)‚ 백두산 정계비(定界碑) 등은 역사상 자랑할 만한 비석이다. 통일신라시대를 거쳐 고려시대에는 많은 비석이 세워졌으며‚ 조선시대에는 여러 종류의 비석이 성행하여 그 유품의 일부는 오늘날까지도 이어지고 있다. 비석의 종류로는 묘비(墓碑)를 비롯하여 능비(陵碑)·신도비(神道碑)·기적비(紀蹟碑)·기념비·순수비·정려비(旌閭碑)·송덕비(頌德碑)·애민비(愛民碑)·영세불망비(永世不忘碑) 등이 있으며‚ 그 밖에도 유허(遺墟)·성곽(城廓)·대단(臺壇)·서원(書院)·묘정(廟庭)·빙고(氷庫)·교량·제지(堤池) 등에 세우는 기적비가 있다. 비석은 대개 비신(碑身)과 이수(촬首)·귀부(龜趺)로 되어 있으나 요즈음 서민층의 묘소에는 이수와 귀부 없이 비신만을 세우는 경우가 많다. 또 자연석의 일면을 갈아서 글을 새기고 위를 둥글게 한 것을 갈(碣)이라고 한다. <본문내용> 삼척김공사적비문 삼척 김씨의 시조 실직군왕의 16세손 김양보(충건정랑호성공신 척주군) 사적비문 -무오 3월 김규호 김치영 김원각 씀 <해석 : 김규영‚ 최병선‚ 신창선> <참고문헌> 야후 백과사전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