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신골

추천0 조회수 26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신골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0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짚신을 삼을 때 형태를 잡아주는 기물이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앞골‚ 뒷골‚ 쐐기‚ 방망이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신골은 짚신 안에 넣어‚ 나무방망이로 짚신모양을 바로잡는데 사용된다. 단단한 나무로 만들어진 것으로 모양과 크기가 여러 종류가 있다. 골을 넣을 때는 먼저 앞골을 넣고 다음으로 뒷골을 넣어 짚신이 탱탱해지도록 한다. 신골은 대개 집의 기둥에 걸어두었다가 필요한 때 내려서 쓴다. 보통 신골망태에 담아 보관해 두었다. <짚신> 볏짚으로 삼은 신발. 비구(扉뻔) ·초혜(草鞋)라고도 한다. 짚신과 같은 형태의 신발로서 삼[麻]으로 만든 것을 ‘미투리’라 한다. 짚신의 역사는 약 2천여 년 전 마한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가고‚ 신라시대의 유물인 짚신 모양의 이형토기(異形土器)는 오늘날의 짚신과 별로 다를 바 없다. 짚신은 가는 새끼를 꼬아 날을 삼고‚ 총과 돌기총으로 올을 삼아서 만드는데 여자용은 총을 가늘고 곱게 하고‚ 엄지총은 물들인 짚을 섞어 만들기도 하였다. 옛날에는 사서(士庶)를 막론하고 짚신이 평상화로 사용되어 농가에서는 농한기에 머슴들이 사랑방에 앉아 몇 십 켤레씩 짚신을 삼아 식구들의 수요에 충당하고‚ 시장에 내다 팔아 용돈으로 썼다. 지금도 초상집 상제들은 짚신을 신는 풍습이 있다. <참고문헌> 한국민속대사전 http://www.cyberseum.com/cyberseum/wwwroot/koreaness_cyber_park/g/g40.htm http://www.kwangjufolk.go.kr/cfh.html 다음백과사전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