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목안

추천0 조회수 73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목안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0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전통 혼례 때 산 기러기 대신 쓰는‚ 나무로 깎아 만든 기러기. <유래 및 발달과정> 목안(木雁)이라고도 한다. 나무기러기를 혼인 때 사용하는 풍습은 중국으로부터 전래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문헌상으로는 "예기" 혼의편에서 볼 수 있다. 옛날에는 아들을 둔 집에서는 기러기를 집 안에서 기르다가 아들이 장가 가는 날 기럭아범[雁?]이 등에 지고 신랑 앞에 서서 갔다. 이것이 불편하여 나중에는 조각하여 채색한 나무기러기로 대용하였다. 동네마다 관디[冠帶] ·목기러기 ·원삼 ·족두리 ·가마 등을 마을 기금으로 마련하여 공동으로 관리했다. 기러기는 사랑을 상징하는 것으로‚ 신랑이 신부의 양친 또는 친척 앞에서 신부와 백년해로의 서약을 할 때 전달하는데 이 식을 전안(典雁)이라 한다. 신부의 어머니 또는 하녀가 나와서 기러기를 치마에 싸가지고 들어가는데‚ 대개의 지방에서는 기러기를 방 안에 있는 신부 앞에 슬쩍 밀어 그대로 서면 아들을 낳는다 하고‚ 넘어지면 딸을 낳는다고 믿었다. 경기 지방을 비롯한 중부지역 일부에서는 떡시루를 엎어놓고 안에 목기러기를 넣어둔다. 기러기가날아가는 것을 막기 위해서인데‚ 이는 옛날 산 기러기를 사용한 풍속이라 하겠다. 나무기러기는 영동 영서 할 것 없이 집집에 혹은 마을마다 장만해 놓고 잔치 때 빌려 쓰거나 꺼내 쓰곤 했다. 양반대가집에서는 문중 전용으로 만들어 사용해 왔는데 개중에는 기러기함까지 짜임새있게 만들고‚ 겉에는 "상전자"라 새겨 후손들에게 대대로 물려주도록 당부하였다. 만드는 과정은 손재주가 있는 사람이 잘 마르고 알맞은 크기의 나무로 솜씨껏 조각하였는데 도내에서 지금까지 발견된 것 가운데 중 상품 40-50개에서 목과 몸통이 이어져 통나무로 된 것은 겨우 2개 뿐이고 나머지는 모두 목과 몸통을 따로 조각하여 꿰맞춘 것들이었다. 조각을 한 다음 표면에 칠을 입힌 것이 있는데 3개중 1개는 고당채가 분명하였고‚ 2개는 단청칠을 했었다. 나무기러기의 형태에 있어서 영서와 영동은 서로 다른 경향이다. 영서의 경우는 연못이나 저수지의 물오리(청둥오리)를 닮았고 산간지역의 것은 산비들기 같은 느낌을 준다. 대체로 목이 낮고 움추린 듯 보여 정적인 감을 주는 반면 영동의 경우는 비교적 기러기의 형태를 갖추었고 목이 앞뒤로 쭉 빠져 생동감을 주는 게 특징이라 하겠다. <참고문헌> 두산세계대백과 유용태‚ <강원의 미>(태안컬렉션‚ 1993)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