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석검

추천0 조회수 94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석검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0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석검 : 석기시대의 유물로서‚ 돌로 만든 긴 칼. <일반적 형태 및 특징> 돌을 갈아 만든 단검으로서 한국 청동기시대를 대표하는 석기 유물이다. 간혹 창(槍)으로 쓰여졌을 것이라 추정되는 석기유물도 간돌검(磨製石劍)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검몸(劍身)과 자루(柄)로 구성되는데 자루 대신 자루와 묶기 위한 슴베(莖)가 달리기도 한다. 대체로 석질이 무른 응회암 종류로 만든 것이 대부분이나 입자가 치밀하고 경도(硬度)가 높은 점판암 등으로 만든 것도 적지 않게 출토된다. 길이는 30㎝ 내외의 것이 대부분이고‚ 긴 것은 경남 김해 무계리(茂溪里) 출토 예처럼 46㎝되는 것도 있으나‚ 짧은 것은 15㎝ 정도의 것도 있다. <출토지> 돌검이 출토되는 200-300여 곳의 유적은 함경북도 지방을 제외한 한반도 전역에 걸쳐 있으며‚ 한반도 이외에 소련 연해주(沿涇州) 지역과 일본 큐우슈우(九州) 지방에서도 한반도의 것과 같은 형태의 간돌검이 출토되고 있다. 일본 큐우슈우 지방의 것은 대체로 한반도 남해안지방의 것과 형식은 물론 석질까지 흡사한 것이 많아 한반도에서 건너간 것으로 이해된다. 검몸은 봉부(鋒部)에서는 뾰족하다가 양날부분으로 가면서 급격하게 넓어지는데‚ 양날은 거의 평행을 이루면서 아래쪽으로 다소 넓어진다. 검몸의 횡단면은 긴 마름모꼴이나 볼록렌즈 모양을 이루고 있으며‚ 일부는 검신 양쪽에 피홈(血溝)을 만든 것도 있다. 자루는 손에 쥐기 좋게 중간부분이 우묵하고 끝 부분으로 갈수록 크게 벌어진 모양을 하고 있는데‚ 자루 한가운데에 가로로 홈이 있거나 이중돌기가 나 있는 것도 있다. 홈이 나 있는 것은 유단병식(有段柄式)돌검‚ 돌기가 있는 자루는 유절병식(有節柄式)돌검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자루가 없이 꼬다리가 달린 것 중에는 꼬다리 한가운데에 구멍이 나 있거나 양쪽으로 홈을 내어 끈을 결박하기 좋게 만든 예가 있는데‚ 이는 대체로 한반도 남부지방에서 많이 발견된다. 꼬다리 끝에는 돌로 만든 검자루 맞추개가 있는 것이 전남 보성(寶城) 봉릉리(鳳陵里)와 경북 안동(安東) 지례동(知禮?) 고인돌에서 발견된 바 있다. 돌검의 형식분류에 대해서는 有光敎一에 의해 처음 체계화되었는데‚ 그는 자루와 꼬다리의 형태를 기준삼아 유경식(有莖式)‚ 유병식(有柄式)‚ 무경무병식(無莖無柄式)‚ 유엽식(柳葉式) 그리고 철검형(鐵劍形)의 5종으로 분류하였다. 해방이후 윤덕향(尹德香)은 유병식을 다시 자루의 제작방법을 중심으로 일단병식(一段柄式)석검과 이단병식(二段柄式)석검으로 구분하였다. 일단병식은 검신과 병부 사이의 부분이 얼마간 좌우로 넓어진 것으로 검신과 구분되출토 예가 있으며‚ 고인돌에서는 남부지방에 제천 황석리(黃石里)와 승주 우산리(牛山里) 등의 예가 있다. 일단병식돌검은 주로 무덤유적에서 출토되는데 무덤 이외에 출토된 것 중에 여주 흔암리(欣岩里) 유적의 것이 대표적이다. 무덤유적으로는 송국리(松菊里) 돌널무덤에서 비파형동검(琵琶形銅劍)과 함께 출토된 바 있다. 고인돌에서는 전남‚ 경남 각지에서 간돌화살촉(磨製石鏃)과 함께 다량 출토된 바 있으며‚ 여천 적량동(積良?) 등지에서는 비파형동검과 함께 출토되었다. 이단병식돌검은 파주 옥석리(?石里)와 여주 흔암리(欣岩里) 등지의 집자리에서 출토된 바 있으며‚ 경상도 지방에서는 초기철기시대에 속하는 점토대토기(粘土帶土器) 유적에서 소형화된 형식이 출토된 바 있다. 간돌검은 한반도는 물론 일본 큐우슈우 지방의 여러 유적에서도 다량 출토되었다. 간돌검은 집자리의 생활유적에서 발견되므로 자르거나‚ 찌르는 데 사용되는 실생활 용구로 사용되었음이 확인된다. 그 대표적인 예로 경기도 여주 흔암리 12호 집자리 출토 예가 있다. 이 유적에서는 자루가 달린 돌검 3점이 출토되었는데‚ 그 중 1점은 검신이 10㎝ 정도 밖에 안되는 짧은 것이다. 그러나 그 대부분이 고인돌 등의 무덤에서 출토되면서‚ 그 중 상당수가 날 부분이 손상이 없고‚ 자루 위와 아래 끝이 심하게 벌어져 실용품으로 볼 수 없는 예도 있다. 대표적인 예가 김해 무계리(茂溪里) 고인돌에서 출토된 것으로 자루의 위 아래 폭이 20㎝ 정도 심하게 돌출되어 의기(儀器)의 성격을 보여주고 있다. 한반도의 청동기문화와 관련이 깊은 만주와 내몽고 지역에서는 돌검이 출토되지 않고 있어 한반도 자체에서 돌검이 발생한 것으로 보여지나‚ 그 조형(祖形)이 무엇인가에 대해 여러 학설이 있다. 해방 전 간돌검 특히 피홈이 있는 유경식이 세형동검(細形銅劍)을 모방하여 만들었다고 주장하여 금석병용기론(金石竝用期論)을 뒷받침하는 근거로 제시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간돌검이 출토된 경기도 파주 옥석리(?石里) 집자리의 방사성탄소연대가 세형동검보다 이른 B.C. 6세기로 밝혀지고‚ 충남 부여 송국리(松菊里) 돌널무덤(石棺墓)에서 비파형동검(琵琶形銅劍)과 함께 간돌검이 출토되면서부터 그 설득력을 잃게 되었다. 특히 남한에서만 발견되는 유절병간돌검(有節柄磨製石劍)은 전북 완주 강림리(講林里)에서 대량으로 발견된 바 있는 중국 춘추시대(春秋時代) 말 전국(戰國) 초의 도씨검(桃氏劍)과 자루형식이 흡사하여 이를 모방하였을 가능성이 많다. 그리고 자루대신 슴베가 달린 한반도 남부지방 간돌검의 경우에는 비파형 혹은 세형동검과 같은 청동단검을 모방 하였을 는 병부에는 2차적 손질‚ 즉 단(段)이나 절(節)이 없는 석검‚ 그리고 이단병식은 단이나 절이 있는 돌검을 가리킨다. 유경식돌검은 검몸 기부(基部)의 중앙에 검몸과 비슷하거나 좁은 꼬다리를 가진 돌검으로서 그 꼬다리의 끝 부분이 어떠한가에는 관계없이 기부가 수평 또는 이에 가깝게 잘려 있다. 이 형식은 주로 평안남도와 황해도 지방‚ 즉 한반도 서북지방에서 주로 출토되고 있으며‚ 최근에 한반도 남부지방에서도 그 출토 예가 증가하고 있다. 유경식돌검이 출토되는 집자리 유적은 평남 금탄리(金灘里) 등 팽이형토기(角形土器) 관계 유적이 대부분이다. 무덤에서는 돌널무덤(石棺墓)과 고인돌(支石墓)에서 출토되었는데‚ 돌널무덤에서는 서북한지방의 북창(北倉) 가능성을 전혀 배제 못한다. <참고문헌> http://www.nricp.go.kr/html/dic/00250.htm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