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소반(小盤)

추천0 조회수 15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소반(小盤)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호랑이 다리모양과 흡사하다 하여 호족반이라 부르는 소반으로써 상판이 12각으로 되어 있으며 4개의 다리는 안에서 밖으로 S자형으로 구부러져 있다. 소반은 음식을 먹기 위한 식기를 받치는 작은 규모의 상으로 평평한 반면(盤面)의 통판 널과 여기게 연결되는 다리로 이루어진다. 반(盤) 아래에는 여러 가지 조각이나 문양으로 장식한 난간이 있고 대부분의 경우에는 다리를 견고하게 하여 주는 중대(中臺)와 족대(足臺)가 있다. 다리가 하나 또는 셋으로 된 것도 있으나 대부분 4개이고‚ 다리 위의 판에는 선을 둘렀으며‚ 여러 가지 조각으로 기교를 보인다. 직사각형으로 생긴 ‘책상반’‚ 판이 둥근 ‘원반(圓盤)’‚ 판이 반달 모양인 ‘반달상[半月床]’‚ 판 가운데가 뚫려 전골틀을 올려 놓을 수 있는 ‘전골상(煎骨床)’‚ 직사각형으로 많은 음식을 올려 놓을 수 있는 ‘교자상(交子床)’등이 있으며‚ 판의 모양이 12모이면 `열두모판`‚ 8모이면 `팔모판`‚ 6모이면 `여섯모판`이라 하고 판의 모양을 연잎[蓮葉]모양으로 조각한 것은 `연잎판`이라 한다. 이동하기 편리한 소형 상이 사용된 것은 조선시대 유교 이념인 남녀유별(男?有別)이나 장유유서(長幼有序)의 이념 때문에 겸상보다는 독상이 선호되었기 때문이다. 공간적으로도 부엌과 방이 멀고 좌식생활을 하는 한식 온돌방에 적합하였기 때문에 소반은 일상적으로 사용되었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