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백자 청화 동화 화접문 병(白磁 靑畵 銅畵 花蝶文 甁)

추천0 조회수 53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백자 청화 동화 화접문 병(白磁 靑畵 銅畵 花蝶文 甁)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백자 청화는 백토로 기형(器型)을 만들고 그 위에 회청(回靑) 또는 토청(土靑)이라 불리는 코발트 안료로 무늬를 그린 다음 그 위에 순백의 유약을 씌워서 맑고 고운 푸른색의 무늬가 생기게 만든 자기이다. 코발트는 당시 한국에서는 채취하지 못하였으므로 아라비아 상인들을 통하여 중국에서 수입하였다. 코발트 안료는 회청 또는 회회청(回回靑)이라 불렀으며 이것으로 만든 자기를 중국에서는 유리청(釉裏靑) 또는 청화백자(靑華白瓷)라고 하고 한국에서는 화사기(畵沙器) 또는 청화사기(靑畵沙器)라고도 불렀다. 문양은 표면에 공간을 많이 남기던 초기에 비하여 후기로 갈수록 굵은 필선(筆線)으로 표면 전체를 충분히 활용하였다. 화재(畵材)도 추초(秋草)무늬와 같은 15·16세기의 가냘픈 무늬에서 중기 이후부터 용(龍)‚ 소상팔경(蕭湘八景)‚ 십장생(十長生) 등으로 변하였다. 19세기의 청화백자는 조선시대 백자의 최후를 상징하듯이 표면이 거칠고 유조(釉調)는 회색이 많다. 특히 서양에서 양청(?靑)이라는 안료가 수입되어 그릇 표면을 메우다시피 그림을 그렸으며 무늬도 저속하고 안일하여 격을 잃고 있다. 백자 동화는 도자기 바탕에 산화동(酸化銅:辰砂) 채료(彩料)로 그림을 그리거나 칠한 뒤 백자유약을 입혀서 구워내면 산화동 채료(진사)가 붉은색으로 발색되는 자기이다. 조선시대에는 이러한 사기그릇을 주점사기(朱點沙器)‚ 진홍사기(眞紅沙器)라고도 불렀나 오늘날에는 진사백자(辰砂白磁) 또는 동화(銅畵)라고도 한다. 진사백자는 고려시대 중엽(12세기)부터 사용되었으며 가장 흔하게 쓰여진 것은 조선 후기인 18∼19세기 무렵이다. 진사백자의 가마터로는 광주군 분원리요(分院里窯)와 함남의 영흥(永興)일대가 알려져있다. 이 백자 병은 어깨가 수평으로 벌어진 후 동체를 향해 수직으로 꺾이면서 동체는 원통형으로 생기고 굽 부근 저부가 꺾이면서 다시 사선으로 좁아지는 기형이다. 목은 짧고 구연은 외반되어 있다. 수평의 어깨에는 2개의 나비문이 있고 원통형의 동체에는 화문과 잠자리 문양이 청화와 동화로 시문되어 있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