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분청 상감 유문 병(粉靑磁 象嵌 柳文 甁)

추천0 조회수 12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분청 상감 유문 병(粉靑磁 象嵌 柳文 甁)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고려말기에 청자가 쇠퇴하면서 태토가 거칠어지고 철분의 함유가 많고 불순물이 섞여 있는 조악한 점토를 사용하게 되어 이를 흰색의 분장토로 감추듯이 분장(粉裝)하는데서 분청사기가 만들어졌다. 이처럼 백토를 이용한 시문(施文)기법은 중국 하북성 자주요(瓷?窯)나 요나라의 요녕성 일대에서 번조되어 우리보다 수백 년 앞선 시대에 이미 사용되었다. 초기의 분청사기는 태토(胎土)와 유약에 있어서 말기의 상감청자(象嵌靑瓷)와 같아서 불순물이 많이 포함되어 짙은 쥐색을 띠며‚ 그 위에 녹색 또는 갈색‚ 탁한 회청색 등의 짙고 어두운 색조의 유약이 입혀져 있다. 분청사기의 제작 시기는 그 시작이 고려 말의 쇠퇴한 청자까지 걸러 올라가며 조선시대 전기인 15-16세기에 그 전성기를 맞게 되고 하한(下限)은 임진왜란에 두고 있다. 주요 생산지를 보면 어느 일정한 지역에 국한되어 있었던 것이 아니고 130여 곳이 넘게 전국에 골고루 분포되어 있다. 결국 분청사기는 토산공물의 하나로 중앙에 상납되게 되어 관사명(官司名)이 들어 있는 것이 많고 관사명이 새겨 있는 그릇은 왕실 및 관아에서 주로 사용하였다. 분청사기는 분장과 무늬를 나타내는 기법에 따라 7가지로 분류한다. 첫째는 표면을 선이나 면으로 판 후 백토나 자토(裏土)를 감입(嵌入)해서 무늬를 나타내는 상감기법(象嵌技法)‚ 둘째는 무늬를 도장으로 찍고 백토분장(白土粉粧)을 한 후에 닦아내서 찍힌 무늬가 희게 나타나는 인화기법(印畵技法)‚ 셋째는 분장 후 무늬 이외의 백토를 긁어내 태토의 어두운 색과 분장된 백색을 대비시켜 무늬를 표현하는 박지기법(剝地技法)‚ 넷째는 분장 후 선으로 무늬를 새기는 조화기법(造花技法)‚ 다섯째는 분장 후 철분(鐵分)이 많은 안료(顔料)로 무늬를 그리는 철화기법(鐵畵技法)‚ 여섯째는 귀얄로 분장만 하는 귀얄기법‚ 일곱째는 백토물에 담궈서 분장하는 덤벙기법이다. 이들 각각의 기법들은 시대성과 지역성을 강하게 보여주고 있다. 이 분청자 병은 짧은 목이 외반된 구연까지 사선으로 벌어지고 굽은 다리굽이다. 어깨에는 2줄의 횡선문을 2곳에 돌리고 그 사이에 종선문을 백상감 시문하였다. 이어지는 동체는 흑백 상강선문으로 4등분한 후 각 면마다 버드나무 문양같은 각종 식물문을 흑‚ 백상감하였다. 유색은 녹청색이다. 구연 3곳을 보수 하였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