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분청자 인화문 접시(粉靑磁 印花文 ?匙)

추천0 조회수 8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분청자 인화문 접시(粉靑磁 印花文 ?匙)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고려말기에 청자가 쇠퇴하면서 태토가 거칠어지고 철분의 함유가 많고 불순물이 섞여 있는 조악한 점토를 사용하게 되어 이를 흰색의 분장토로 감추듯이 분장(粉裝)하는데서 분청사기가 만들어졌다. 이처럼 백토를 이용한 시문(施文)기법은 중국 하북성 자주요(瓷?窯)나 요나라의 요녕성 일대에서 번조되어 우리보다 수백 년 앞선 시대에 이미 사용되었다. 초기의 분청사기는 태토(胎土)와 유약에 있어서 말기의 상감청자(象嵌靑瓷)와 같아서 불순물이 많이 포함되어 짙은 쥐색을 띠며‚ 그 위에 녹색 또는 갈색‚ 탁한 회청색 등의 짙고 어두운 색조의 유약이 입혀져 있다. 분청사기의 제작 시기는 그 시작이 고려 말의 쇠퇴한 청자까지 걸러 올라가며 조선시대 전기인 15-16세기에 그 전성기를 맞게 되고 하한(下限)은 임진왜란에 두고 있다. 주요 생산지를 보면 어느 일정한 지역에 국한되어 있었던 것이 아니고 130여 곳이 넘게 전국에 골고루 분포되어 있다. 결국 분청사기는 토산공물의 하나로 중앙에 상납되게 되어 관사명(官司名)이 들어 있는 것이 많고 관사명이 새겨 있는 그릇은 왕실 및 관아에서 주로 사용하였다. 문양에서 보여지는 인화시문(印花施文(도장을 찍는 수법))은 여러 가지 문양을 도장으로 그릇 표면에 찍어 움푹 들어간 곳에 백토를 메꾸어 넣으므로 문양이 나타나는 기법이다. 이 기법은 분청사기에 나타나는 모든 기형에 사용된다. 인화문에 사용되는 문양은 국화문(菊花文)‚ 원권문(圓圈文)‚ 승렴문(繩簾文) 등을 주문양으로 우점문(雨點文)‚ 당초문(唐草文)‚ 만자문‚ 연판문(蓮瓣文)‚ 나비문‚ 학문(鶴文)‚ 연주문(聯?文) 등이 보조 문양으로 나타난다. 이때 인화문의 보조 문양으로 많이 사용되는 당초문은 주로 상감되어 나타나며 항아리‚ 푼주(넓적한 대접 모양의 그릇)‚ 매병(梅甁) 등 큰 그릇에도 인화문과 상감문이 동일 기면(器面)에 같이 시문되는 경우가 많다. 또 인화문계(印花文系)에는 관사명(官司銘)과 제조지방명이 인화기법으로 표현된 예가 많고 상감기법으로 나타내는 경우도 있다. 이것은 분청사기의 제작 시기 및 만든 지방의 특징을 연구하는데 중요한 자료이다. 이들 명문(銘文)은 점차로 왜곡되고 변형되면서 문양으로서의 역할을 하게 되었으며 여러개를 같은 기면에 배열하기도 하고 위치도 문양으로서의 효과적인 배치에 더욱 주력하여 훌륭한 문양으로서의 역할을 겸하기도 하였다. 내면에는 바닥 중앙에 1개의 국화문이 인화되어 있고 그 주위에 5개의 국호문‚ 횡선문 2줄‚ 국화문대(菊花文帶)1줄‚ 횡선문 2줄‚ 우점문‚ 횡선문 2-3줄‚ 당초문이 구연까지 차례로 인화‚ 백상감되어 있다. 외측면에는 음각 횡선 사이에 화변문대(花辯文帶)가 시문된 후 엷게 귀얄하였다.굽주변은 시유하지 않았고‚ 내열 바닥에 작은 내토비 5개가 있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