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청자 잔탁(靑磁 盞托)

추천0 조회수 11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청자 잔탁(靑磁 盞托)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한국에서는 고려 초기(10~11세기)에 강진요(康?窯)와 부안요(扶安窯)에서 독특한 청자를 만들어내면서 급속도로 성장하여 12세기 무렵에는 비색청자(翡色靑瓷)라 불리는 중국의 청자를 능가하는 뛰어난 청자를 구워내다가 13세기 후반부터 유조(釉調)?작풍(作風)이 점차 저하되어 고려 말기에는 쇠미해졌다. 잔탁(盞托)은 잔을 놓는 잔 받침은 말하며 보통 잔과 한 세트를 이루어 탁잔(托盞)이라고 한다. 고려 청자에는 기형과 문양에 따라 여러 종류의 잔 받침(잔탁;盞托)이 있다. 대표적인 기형으로는 잔좌(盞座)가 잔 모양으로 만들어져 있고 잔좌(盞座)의 밑이 뚫려있는 것‚ 잔좌(盞座)가 잔 모양으로 만들어져 있고 잔좌(盞座)의 밑이 막혀있는 것‚ 솟아 오른 잔좌(盞座)에 수평의 전이 달린 형태가 있고 이들은 다시 전의 가장자리가 화형(花形)으로 되어있는 것과 원형으로 되어있는 것‚ 전이 수평으로 쭉 뻗은 것과 곡선으로 벌어지는 것‚ 굽이 높은 것과 낮은 것‚ 상감이나 음각 문양이 있는 것과 문양이 없는 것 등 다양한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청자상감국화문탁잔 (靑磁象嵌菊花文托盞)의 경우처럼 잔과 탁(잔 받침)을 모두 각각의 틀을 사용해 찍어서 만드는 경우가 많아 유사한 기형의 탁잔(托盞)이 많다. 이 청자 잔탁은 솟아 오른 잔좌(盞座;그릇 중앙에 잔이 놓이는 자리)에 수평의 전(옆으로 벌어진 가장자리)이 달린 기형이다. 솟아 오른 잔좌(盞座)의 측면에는 복련문(伏蓮文)이 시문되어 있고 전의 가장자리 6곳을 살짝 눌러서 화형(花形)을 만들었다. 높은 다리굽에는 내화토비짐 받침을 6-7개 깔고 번조하였다. 유색은 갈색이 도는 진한 녹청색이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