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굽다리단지

추천0 조회수 49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굽다리단지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굽다리단지는 백제토기에서 주로 발견되는 기종이다. 이 유물은 소형으로 정확히 단정짓기는 어렵지만 형태상 백제토기로 볼 수 있을 것이다. 백제토기는 백제라는 특정 정치체의 시공적 영역 안에서 제작·사용되었던 것으로서‚ 여타 토기와 식별할 수 있는 일정한 양식적인 공통성을 가지고 있는 토기군을 말한다. 일정 양식 토기의 성립이 반드시 국가의 형성과 일치하는 것은 아니나‚ 정치적 긴장상황이 매우 증대되는 삼국시대에 들어오면 고구려나 신라 모두 그 시공적 영역내에서 식별할 수 있는 토기양식이 등장하고 있어 이 무렵 국가와 특정 토기 양식의 성립은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므로 백제토기의 형성은 곧 백제라는 국가 형성의 한 산물로 이해될 수 있다. 그런데 백제토기의 형성과 발전 시점인 한성기 토기에 대해서는 80년대 중반 이후 서울 몽촌토성과 석촌동 고분군이 조사되면서 겨우 식별이 가능해졌지만‚ 양호한 편년자료가 적어 논란이 있었다. 최근 경기 이남과 금강유역권의 고분군들이 조사되면서 그 발전양상을 보여줄 수 있는 자료들이 많이 축적되었다. 먼저 백제토기로 인식될 수 있는 한성기의 특징적인 기종들로는 세발토기(三足土器)‚ 검은색으로 마연한 입곧은항아리류(直口壺類)와 굽다리접시(高杯)‚ 합(盒)‚ 뚜껑(蓋)‚ 원통형 그릇받침(圓筒形 器臺)‚ 경부가 비교적 길지 않은 입큰목긴항아리(廣口長頸壺)‚ 몸체에는 새끼문(繩文)이 저부에는 격자문이 타날된 장란형토기(長卵形土器)와 돗자리문양(繩蓆文)이 시문된 깊은바리모양토기(渙鉢形土器)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 검은간토기는 종래 고구려토기의 영향에 의한 것으로 고구려세력의 한강유역 진출을 시사하는 증거로 해석되어 왔으나‚ 한성기 백제토기와 고구려토기를 자세히 비교하여 볼 때 기종이나 형태상의 유사성이 발견되지 않아 이는 현재 받아들여지지 않고 있다. 연대설정은 차이가 있지만‚ 입곧은항아리와 반형세발토기가 백제토기의 초기 기종이라는 점에는 대체로 의견이 일치되고 있다. 그 형성시점에 대해 백제의 초기 입곧은항아리와 매우 유사한 것들이 2-3세기대의 중국 동북지역에서 출토되고 있어 이 지역의 영향으로 3세기 중후반 무렵 형성된 것으로 파악하였다. 그 계기는 『삼국지(三國志)』에 나오는 270년대 이후 마한주(馬韓主)가 서진의 동이교위부(東?校尉府)에 사신을 파견하는 교섭 주체를 백제로 보는 것에서 구하고‚ 입곧은항아리의 검은색을 마연한 칠기의 재질감을 번안한 것이며 세발토기도 같은 맥락에서 등장한 것으로 보았다. 이는 입곧은항아리의 분포권과 백제의 대외교섭 양상으로 보아 대체로 타당한 해석으로 생각된다. 다만 백제를 포함한 한(배신 깊이가 현저히 낮아지는 대신 다리 길이가 길어져 형식화된 모습을 보인다. 입곧은항아리도 계속 제작되지만 보다 경질화되어 있고 몸체가 둥글며‚ 어깨의 문양대가 거의 사라지는 모습을 보인다. 한편 한성기 말에 등장한 뚜껑접시(蓋杯)가 보편적으로 제작·사용되는 것이 이 시기 백제토기의 특징 가운데 하나이며‚ 낮은 굽이 달린 크고 작은 완(완)과 합들도 사용된다. 뚜껑에서는 이전의 단추형이나 사다리꼴형(梯形)·보주형(寶?形)꼭지에 둥근 윤형(輪形) 꼭지가 웅진기에 추가되며‚ 뚜껑에 턱받침이 있는 것이 많다. 한편 사비기에는 중국 자기의 영향으로 귀가 네개 달린 긴목항아리(四耳附長頸壺)가 만들어지거나 자기를 모방한 연유도기(鉛釉陶器)들도 실험적으로 제작되고 있다. 이와 함께 사비기에는 제작기법상의 변화도 일어나 탄소흡착기법으로 표면을 흑색으로 만들며 벽심이 연질에 가까운 소위 흑색와질토기가 자배기를 중심으로 만들어지는데‚ 옆으로 부착된 대상(帶狀)의 손잡이가 달린 점이 특징이다. 이는 한성기의 백제토기에는 없던 것이며 고구려토기에서 많이 나오는 손잡이 형태이다. 그밖에 대부분의 기종에서 회색연질로 제작된 것이 다시 증가하고 있는데‚ 이는 제작기술이 이미 안정된 단계에서 토기에 대한 사회적 수요의 증가에 부응하기 위해 보다 대량생산한 결과로 생각된다. 韓)세력들과 중국 동북지역과의 교류는 요동지역의 공손씨(公孫氏)정권이 3세기 전반에 대방군을 설치할 무렵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기 때문에 백제토기의 형성시점에 대해서는 좀 더 세밀한 검토가 필요하다. 웅진으로 천도한 이후 웅진기와 사비기의 백제토기는 한성기 토기의 기종이 대체로 이어지면서 몇 가지 새로운 기종이 추가되고 기형적 변화를 하게 된다. 그릇받침의 경우 한성기의 원통형그릇받침에 이어 장고를 반으로 잘라 놓은 듯한 장식성이 더욱 높아진 그릇받침이 사용되며‚ 세발토기는 반형(盤形)이 사라지고 뚜껑이 있는 접시모양세발토기만 제작되는데 사비기에 들어와서는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