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목긴항아리

추천0 조회수 11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목긴항아리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목긴항아리는 장경호라고도 불리듯이 목이 그릇 높이의 5분의 1 이상으로 길게 붙어있는 항아리를 말한다. 목이 짧은 단경호(短頸壺)와 구별하기 위해 장경호(長頸壺)라고도 하며‚ 대족(臺足)이 달린 것과 달리지 않은 것이 있어 구별된다. 목항아리는 흔히 굽다리접시와 함께 신라토기의 대표적 그릇으로 알려져 있지만‚ 실제로는 신석기시대의 토기에서부터 이미 나타나 있었고‚ 초기 철기시대의 유적인 대전 괴정동 석관묘 등에서 세형동검 및 잔무늬거울[細文鏡]과 동반 출토된 검정간토기도 긴목항아리이다. 원삼국시대에 들어와서는 쇠뿔형 손잡이가 몸통 좌우에 달린 긴목항아리가 유행하였고‚ 서기 3세기경부터는 대족이 달린 목항아리가 출현하였는데‚ 이것이 4세기에 이르러 회청색을 띤 경질토기로서의 본격적인 신라‚ 가야 목항아리로 발전한다. 이후 낙동강을 경계로 하여 구분되는 신라식(낙동강 동안양식:성주 이북의 낙동강 서안을 포함)과 가야식(낙동강 서안양식)은 다음과 같은 점에서 차이를 보이는데‚ 우선 신라식은 목과 어깨가 각을 이루면서 연결됨에 반해 가야식은 목과 어깨가 곡선으로 연결된다는 점‚ 둘째‚ 신라식은 대족이 달리는 경우가 많으나 가야식은 대족이 붙지 않는다는 점이다. 가야지역에서는 이 때문에 굽받침이나 높은 기대(器臺)를 따로 만들어 목항아리를 얹었다. 셋째‚ 차이점은 신라식 목항아리에는 물결무늬와 각종 기하학적 무늬가 시문되고 그 밖에 조그만 토우가 달리기도 하지만‚ 가야식에는 대부분 목부분에만 물결무늬가 돌려진다는 것이다. 신라의 목항아리는 시간의 흐름과 함께 상당한 양식상의 변화를 보이는데‚ 5세기 중엽까지는 대부분 목과 대족이 튼실하게 만들어지고 대족에 일렬로 구멍이 뚫렸으나‚ 5세기 중엽 이후에는 몸통이 아가리보다 작아지는 한편 대족에는 구멍이 2단으로 배치되었고‚ 6세기 중엽 이후가 되면 대족이 현격히 축소되면서 구멍 크기도 작아지고 무늬의 종류도 줄어든다. 이 때부터 형식상의 퇴화기에 접어드는 것인데‚ 통일신라시대에 들어서면 중국측의 영향을 받아 인화문이 찍힌 뚜껑달린 목항아리로 바뀌어갔다가 결국 신라 말에 이르러 굽다리접시와 함께 사라지게 된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