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구멍단지

추천0 조회수 59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구멍단지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구멍단지란 둥근 몸체위로 긴 목이 달린 목긴 항아리에 작은 원형의 구멍이 뚫린 형태를 말한다. 주로 백제토기에서 만들어진 기형이다. 백제토기란 백제의 주민들에 의해서 제작되고 사용된 백제 고유의 양식적 특징을 가지고 있는 토기를 말한다. 시기적으로는 기원 후 3세기경부터 백제의 멸망시점인 660년까지이다. 백제토기는 백제의 영역 변천과정에 따라 그 공간적인 분포가 변화하고 있는데‚ 토기 양식의 공간분포와 정치적 영역과의 일치현상은 백제와 더불어 동시대에 서로 경쟁적인 관계에 놓여 있던 신라나 고구려의 경우에서도 확인되는 흥미로운 사실이다. a. 제작기술: 두드림무늬 수법으로 만든 후 환원번조로 제작되었다. 이 기술은 남한지역 역사시대 토기의 공통적 특징으로 중국 전국시대의 도자기 제작기술에 뿌리를 두고 있으나‚ 한강유역의 백제나 그 이남 지역에 영향을 미치는 시점은 낙랑군이 설치된 이후로 드러나고 있어서 직접적으로는 한대의 토기제작기술과 연관된다. b. 종류: 종류가 다양하나 대표적인 것으로 세발달린 그릇(三足器)‚ 곧은목항아리(直口短頸壺)‚ 굽다리접시(高杯)‚ 그릇받침(器臺) 등이 있다. 이중 세발달린 그릇은 백제 토기에만 존재하는 것으로 몽촌토성에서 많이 출토되어 한성백제가 성립되던 3세기 중-후반무렵부터 등장하는 것으로 보이며 그 기원은 중국 진대의 청동제 세발 달린 대야(三足盤)에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곧은목항아리는 둥근 몸체에 곧고 짧은 목을 가진 항아리로 어깨부분에는 음각문양대가‚ 몸체 아랫부분에서 바닥까지는 두드린 문양대가 있는 점이 특징이다. 이 기종은 한성시대에 유행하여 적갈색 연질의 깊은 바리형 토기와 더불어 무덤의 부장품으로 많이 쓰이고 있다. 굽다리접시는 그릇받침과 더불어 고구려에서는 보이지 않지만 남한 지역의 토기 가운데에서는 주종을 이룬다. 굽다리의 형태 장식 등에 있어서 백제 신라 가야 등이 각기 고유한 모양을 가진다. 즉‚ 백제 고배의 특징은 신라‚ 가야의 것에 비해 거의 아무런 장식이 없는 짧은 굽다리를 달고 있고 5세기 중엽이전의 한성시대에는 무덤에 부장되는 예가 거의 없다는 점 등이 특징이다. d. 변화: 백제토기는 대체로 도읍의 변천에 따라 한성‚ 웅진‚ 사비기의 토기로 구분할 수 있다. 한성백제기의 대표적인 토기로는 검은간토기‚ 곧은목항아리‚ 어깨단지(有肩壺)‚ 입큰항아리(廣口壺)‚ 세발달린그릇‚ 굽다리접시 등이 있다. 검은간토기‚ 입큰항아리‚ 굽다리접시‚ 세발달린그릇 등은 이전 시기의 토기와는 전혀 새로운 양식의 토기이다. 이시기의 토기에는 제작과정에서 생긴 두드림무늬 이외에 문살무늬‚ 물결무늬‚ 선무늬 등이 새겨지기도 한고 뚜껑접시‚ 병형토기‚ 작은단지 등이 주류를 이룬다. 또한 불교의 영향으로 화장이 널리 퍼지면서 뼈항아리(骨壺)도 많이 만들어졌다. 이 시기에는 사비를 중심으로 형성된 토기양식이 영산강 유역까지 확대되었다. 백제토기에는 바리‚ 대접‚ 잔‚ 접시‚ 병 등 바닥이 납작한 생활용기가 많고‚ 형태상 복잡성이 신라 가야토기에 비해 낮은 반면 고구려 토기보다는 높아 실용성의 관점에서 본다면 전자와 후자의 중간적인 위치를 점하고 있다. 또한 곧은목항아리‚ 세발달린그릇 등의 주요한 그릇의 형태와 문양은 당시의 다른 삼국에 비해 중국 晉대의 요소와 유사점이 많은데 이는 백제의 국가형성과정에서 중국과의 대외교섭이 가지는 의미가 컸음을 시사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그에 따른 백제문화의 개방성을 보여준다. 다. 주로 한강유역과 경기‚ 충청지역에서 주로 발견되고 있다. 웅진 백제기에는 입큰항아리‚ 뚜껑접시‚ 세발달린그릇‚ 손잡이잔(把杯) 등이 많이 만들어졌다. 단지는 적갈색연질류가 적어지고 화청색경질류가 많아진다. 세발달린그릇의 경우 대칼 등으로 깎아 각지고 끝이 뾰족한 다리를 붙이게 된다. 이시기의 토기는 주로 금강 유역권의 유적에서 발견되며‚ 지역적 특성을 띠기도 한다. 사비백제기의 토기는 회흑색 연질의 바리(鉢)‚ 합‚ 단지‚ 자배기‚ 손잡이단지 등을 비롯한 새로운 양식의 생활용기류가 많다. 생활용기는 주로 왕궁터‚ 절터‚ 건물터‚ 생산유적에서 발견되고 있으며 부장용토기는 고배가 점차 소멸되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