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뚜껑있는 굽다리접시(뚜껑)

추천0 조회수 14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뚜껑있는 굽다리접시(뚜껑)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굽다리 접시는 한국‚ 중국‚ 일본 등 동아시아 일대의 선사시대 및 고대 용기문화에서 자주 보이는 그릇의 한 종류이다. 중국식 명칭으로는 ‘두(豆)’라고 하는데 주례(周禮)를 참조하면 나물 혹은 고기를 담는 그릇이며 제기로서 가장 많이 사용되었던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가령 周禮 예기(禮器)편에는 천자로부터 대부(??)에 이르기까지 제례를 지낼 때 사용할 수 있는 제기 두의 개수가 정해져 있음을 알 수 있다. 흔히 도기나 자기의 형태로 많이 제작되지만 청동기나 목기로 제작되는 경우도 많이 있다. 굽다리접시의 기본형태를 보면 낮은 접시나 깊은 완‚ 혹은 바리와 같은 배신에 원통형 또는 절두원추형의 다리가 결합된 모습인데 다리를 장식하거나 아니면 그릇의 중량을 가볍게 할 목적으로 삼각형 혹은 사각형의 굽구멍(투창)을 뚫은 경우를 흔히 볼 수 있다. 굽다리접시는 다른 어떤 기종보다도 그릇 뚜껑이 따로 제작되어 덮이는 경우가 많아서 같은 시기의 같은 유구에서도 뚜껑 없는 굽다리접시가 있는가 하면 뚜껑굽다리접시도 함께 출토되고는 한다. 동아시아 여러 지역에서 공통으로 보이는 굽다리 접시가 과연 어떠한 역사적 관련성을 가지는지는 분명하지 않다. 다만 수렵채집 위주의 생업경제를 영위하던 단계에는 볼 수 없다가 농경사회에 접어들면서 풍부하게 제작되는 특징이 있다. 그래서 농경사회의 굽다리접시는 농경사회의 제례용기나 혹은 농경민의 개인용 식기로 추측되기도 한다. 굽다리접시의 가장 오래된 예를 찾으면 중국 신석기시대 조기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지금으로부터 8000년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노관태문화기(老官台文化期)의 백가촌(白家村)유적에서는 세발토기와 함께 낮은 굽이 달린 접시가 출토되었다. 중국 신석기 문화 중에서도 특히 장강(長江) 하류역 숭택(?澤)문화기의 묘장유구에서는 아주 다양한 형태의 굽다리접시가 보이며 도기 굽다리접시로서 일품은 역시 대문구‚ 용산문화기의 마연흑도계의 굽다리접시일 것이다. 청동기시대 이후부터는 청동기 두(豆) 혹은 굽다리접시가 많이 제작되는데 청동두로서 가장 오래된 것은 상대(商代) 만기(晩期)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주대 이후에 청동제 굽다리접시가 자주 발견되기는 하지만 도제 두가 소멸한 것은 아니며 청동제 두를 흔하게 사용할 수 없는 경우나 무덤에 소비하기 위한 명기로서 도제 굽다리접시가 한 대 까지 풍부하게 제작된다. 특히 도기 굽다리 접시는 보통 뚜껑 없는 굽다리접시가 많았는데 청동기로 제작되면서부터는 뚜껑굽다리 접시가 더 많이 사용되기 때문에 도제 굽다리접시 역시 뚜껑굽다리 접시가 더 보편적인 형태로 된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