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토제소탑

추천0 조회수 47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토제소탑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사리구는 사리용기‚ 공양소탑‚ 탑지(塔誌) 등 셋으로 분류되는데‚ 사리용기는 직접 사리를‚ 공양소탑은 법사리를 납입하며‚ 탑지는 건탑 연유를 기록한다. 사리용기는 석존의 골장기(骨藏器)로서의 성격상 당대 최고 수준의 기술과 최선의 재료로서 신앙심을 가지고 제작되었기 때문에‚ 그 시대의 공예수준을 나타내는 것이기도 하다. 사리구에 소탑을 넣는 것은 통일신라시대에 유행한 ≪무구정광대다라니경≫에 의한 사리 봉안 법식으로 99기나 77기의 소탑을 넣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소탑의 내면에 구멍을 뚫어 다라니를 1벌씩 끼워 넣는다. 한 예로 나원리 오층석탑에서 발견된 소탑은 ≪무구정광대다라니경≫에 의해 봉안된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소탑인데‚ 금동삼층소탑과 구층소탑은 상륜부와 보륜 주위로 영락이 화려하게 장식되어 있어 기단부터 상륜부까지 완전한 모습을 갖추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아울러 백제 탑에서 나타나는 구조적 특징을 가지고 있으면서 통일신라 초기 석탑의 양식적 특성을 나타내고 있으므로 신라 석탑 양식이 형성되어 가는 과도기적 양상을 잘 보여주는 매우 귀중한 미술사적 자료로 평가된다. 따라서 공양소탑은 그 시대의 건축양식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기도 한다. 또한 납석제 소탑은 틀을 이용한 토제탑과는 달리 하나하나 손으로 조각해야만 하는 특성으로 전체적인 형태는 비슷하나 크기와 세부는 각기 다른 양상을 보인다. 이 탑은 탑의 조형미를 거의 찾아볼 수 없는 형태로 제작 시기는 고려 후기로 추정된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